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인(公人)의 개념과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과 용서

Understanding Public Figure: Punishment and Forgiveness on an Illegal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3, v.27 no.1, pp.67-84
https://doi.org/10.21193/kjspp.2013.27.1.005
하사랑 (경기대)
김범준 (경기대학교)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인의 분류기준 및 범위와 공인의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과 용서를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는 공인의 정의와 공인이 갖추어야할 요소 또는 자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인의 정의는 ‘인지도를 갖춘 사람’,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인이 갖추어야 할 요소 또는 자격은 청렴함, 정직함, 도덕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인의 기준 속성을 선정하고 각각의 속성에 대해 현재 공인이 갖고 있는 정도와 가져야 한다고 기대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인지도와 외모를 제외한 모든 속성에서 현재와 기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중에서 청렴함, 도덕성, 규범준수의 차이가 컸으며, 경제력, 사회적 지위, 영향력은 현재보다 앞으로 더 적게 가져야 된다고 평가되었다. 실험 3은 공인으로 인식되는 직업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고위공무원군을 포함한 공무원군이 상대적으로 공인으로 인식되는 정도가 높았으며, 연예인군 또한 공인으로 인식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 4에서는 공인의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과 용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위법행위에 대한 처벌, 비난, 자숙에서 공인으로 인식되는 직업과 일반인과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인이라고 인식되는 정도와 처벌, 비난, 자숙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keywords
공인(公人), 공인의 위법행위, 처벌판단, 비난, 용서, public figure, illegal behavior, punitive judgement, criticism, forgivenes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concept of public figure and how illegal acts of public figure influence punishment and forgiveness evaluat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defined public figure as a person with recognition and who can exert influence on other people. Also, participants perceived that public figure should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tegrity, honesty and morality. In Experiment Ⅱ, participants were asked to measure what type of characteristics public figure currently have and what characteristics public figures are expected to h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differences between current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are expected to have, except recognizability and physical appar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integrity, morality and following the norm, and participants perceived that public figures should have less economic power, social status, and influence on the society. Experiment Ⅲ measured what types of occupations public figure would h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ublic officials, entertainers were considered as public figures. Experiment IV evaluated punishment and forgiveness on an illegal action committed by public figure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valuation of punishment, criticism, self-reflection between a public figure and an ordinary person.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공인(公人), 공인의 위법행위, 처벌판단, 비난, 용서, public figure, illegal behavior, punitive judgement, criticism, forgiveness

참고문헌

1.

김동주 (2001). 명예훼손 행위에 있어서 미국의 판례에서 형성된 소위 “공적인물” 개념의 우리 판례에의 반영. 民事法硏究, 9, 53-77.

2.

뉴스엔 (2011. 9. 9). 강호동 은퇴 선언에 동정론 꿈틀 “죄질에 비해 응징 과해”. http://www. newsen.com/news_view.php?uid=201109091847361001

3.

문재완 (2002).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法曹, 8(551), 210-254.

4.

문재완 (2004). 공인에 관한 최근 명예훼손 법리의 비교연구. 언론중재, 24(1), 4-21.

5.

아시아경제 (2012. 4. 13). 공지영 허위사실 유포…“성급했다” 빈축. http://view.asiae.co.kr/ news/view.htm?idxno=2012041215050463926&nvr=Y

6.

엑스포츠뉴스 (2012. 7. 5). 두산 고창성 SNS, KIA-두산 갈등 불 지피기? http://xportsnews. 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241228

7.

윤성옥 (2007). 공인의 미디어 소송 특징과 국내 판결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0, 150-191.

8.

이재진 (1999). 명예훼손법상의 공인과 언론에 나타난 공인. 언론과 사회, 10(2), 73-110.

9.

이재진 (2003). 방송에서의 ‘공인’의 의미에 대한 법제론적 고찰: 명예훼손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경제와 문화, 1(1), 107-144.

10.

임유진 (1998). 언론보도로 인한 개인의 명예훼손 판례 분석: 공인에 대한 보도의 한계는 어디인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1.

차용범 (2001).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사법적 논의의 한계. 한국언론학보, 45(2), 387-421.

12.

차용범 (2002).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판결기준의 변화 추세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6(3), 414-445.

13.

최승혁, 김범준, 김시업 (1997).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처벌철학과 양형판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1-17.

14.

최지웅 (2003). 명예훼손 판례분석을 통한 공인에 대한 개념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5.

한국경제 (2011. 9. 23). 탈세 연예인 퇴출돼야 할까요. http://www.hankyung.com/news/app/ newsview.php?aid=2011092188061

16.

Barnett, N. J., & Feild, H. S. (1978). Character of the defendant and length of sentence in rape and burglary crim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4, 271-277.

17.

Esqueda, C. W., Espinoza, R. K. E., & Culhane, S. E. (2008). The effects of ethnicity, SES, and crime status on juror decision making: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European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 mock juror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30(2), 181-199.

18.

Freeman, N. J. (2006). Socioeconomic status and belief in a just world: Sentencing of criminal defenda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6(10), 2379-2394.

19.

Gleason, J. M., & Harris, V. A. (1975).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similarity as determinants of judgements by simulated juror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 175-180.

20.

Hoffman, E. (1981). Social class correlates or perceived offender typicality. Psychological Reports, 49, 347-350.

21.

Knight, J. L., Giuliano, T. A., & Sanchez-Ross, M. G. (2001). Famous or infamous? The influence of celebrity status and race on perceptions of responsibility for rap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3(3), 183-190.

22.

Mazzella, R., & Feingold, A. (1994). The effects of physical atrractiveness,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of defendants and victimes on judgments of mock jurors: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15), 1315 -1344.

23.

Osborne, Y. H., & Rappaport, N. B. (1985). Sentencing severity with mock jurors: Predictive validity of three categories.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3, 467-473.

24.

Shaw, J. I., & Skolnick, P. (1996). When is defendant status a shield or a liability? Clarification and extension. Law and Human Behavior, 20, 431-442.

25.

Steblay, N. M., Besirevic, J., Fulero S. M., & Jimenez-Lorente, B. (1999). The effects of pretrial publicity on juror verdicts: A meta-analytic review. Law and Human Behavior, 23(2), 219-235.

26.

Studebaker C. A., & Penrod, S. D. (2005). Pretrial Publicity and Its Influence on Juror Decision Making. In N. Brewer & K. D. Williams(Eds.), Psychology And Law: An Empirical Perspective (pp. 254-275). New York: Guilford Press.

27.

Sutherland, E. H. (1940). White-collar crimina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1), 1-12.

28.

Sutherland, E. H. (1945). Is “white collar crime” crim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0(2), 132 -139.

29.

Sutherland, E. H. (1983). White collar crime: The uncut version. CT: Yale University Press.

30.

Wong, M., Goodboy, A. K., Murtagh, M. P., Hackney, A. A., & McCutcheon, L. E. (2010). Are celebrities Charged with murder likely to be acquitted?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23(3), 625-63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