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행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User Motivation and Happiness in Social Media: Mediating Effects of Flow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5, v.29 no.3, pp.45-66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3.003
배지우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박정열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이용자 몰입(flow)과 행복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그리고 동기와 행복 간의 관계에서 몰입 요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이용동기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근원적 욕구 차원에 따라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의 세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별하였고 이들 각각의 동기들이 이용자가 경험하는 몰입과 행복 간의 관계에 있어 차별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용자 동기 중 사회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는 몰입 및 행복과 각각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몰입이 동기와 행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기능적 동기는 몰입 및 행복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동기의 성격이 자발성과 자기목적성을 충분히 갖추었을 때 이용자로 하여금 몰입과 행복을 체험하도록 하며 몰입의 매개효과로 인하여 행복의 정도가 보다 증폭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 몰입, 행복, social media, user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flow, happiness

Abstract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user motivation on flow and happiness in the activity of social media. Also the mediating role of flow in the relation of user motivation and user happiness is to be identified. On this purpose, user motivation in social media was divided into 3 sub-dimensions as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The differentials of 3 motivations above in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flow and happiness was checked out too.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in social media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flow and happiness and the flow mediated the relation of motivation and happiness. But the functional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and happin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only the motivations involving spontaneous and autotelic characteristics enough have plausibility to induce flow and happiness user experiences in time of social media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can amplify the scope of happiness.

keywords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 몰입, 행복, social media, user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flow, happiness

참고문헌

1.

고동완, 박용순, 이한아름 (2013).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4), 137-156.

2.

고아라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Facebook 사용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곽기영, 김효준 (2011). 소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소셜미디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83-114.

4.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5.

금희조 (2011). 소셜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한국방송학보, 통권, 25(5), 7-48.

6.

김경달, 김현주, 배 영 (201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피로감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와 사회, 26, 102-129.

7.

김남이, 이수범 (2011),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06-341.

8.

김명수, 이동주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디지털 피로감과 플로우의 역할. e-비즈니스연구, 13(1), 67-87.

9.

김봉섭, 박상미 (2013).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행복효과 연구: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봄정기 학술대회논문집, 141-164.

10.

김봉섭, 신명희, 임도경, 이인희 (2013).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및 활동 유형에 대한 차이 연구. 사회과학연구, 29(2), 105-134.

11.

김유정 (2011).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20, 71- 105.

12.

김예나, 이상우 (2011). 국내 SNS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기업의 전략: 페이스북과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43-267.

13.

김정구, 박승배, 김규한 (2003). 마케팅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플로우가 온라인 게임의 애호도와 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8(3), 93-120.

14.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5.

김진화, 변현수 (2004). 가상공동체에서 매개 변수로서의 몰입의 역할. Information Systems Review, 6(2), 47-63.

16.

김형석 (2012). SNS의 이용동기와 커뮤니케 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2), 548-553.

17.

김형석, 김동성 (2012). 이용자의 퍼스낼리티와 SNS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1), 167-175.

18.

김희연, 오주현 (2012).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4(12), 19-42.

19.

내가영 (2010). 모바일 SNS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만족감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문영주, 정철호 (2011).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202-211.

21.

박광순, 조명휘 (2004). 인터넷의 웹블로그(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5), 270-294.

22.

박성연, 이순민 (2005),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정도가 Flow, 소비자-웹 사이트 브랜드 관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23(1), 15- 36.

23.

박윤서, 김용식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1), 247-272.

24.

박종철, 전수정, 이한준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활동이 소비자의 지식창출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경영학회지, 12(4), 201-226.

25.

박철 (2008). 온라인 소비자행동에서 플로우(Flow)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19(2), 65-92.

26.

배지우, 박정열 (2015).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15(1), 462-474.

27.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28.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5-113.

29.

심성욱, 김운한 (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42-376.

30.

심혜영, 임 걸 (2011). SNS 이용동기가 참여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2(3), 383-390.

31.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2012).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 페이스북 이용자의 사회심리학적 동기, 이용행위, 사회적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보, 56(5), 270-297.

32.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오은해 (2012). 소셜 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연구, 27(1), 49- 74.

34.

유영달 (2005). 몰입감 모델(flow model)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35-55.

35.

유일, 최혁라 (2008).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영향이 플로우,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17(2), 113-135.

36.

이수범, 김동우 (2012).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이 유권자들의 정치 참여 의도에미치는 영향 연구. 홍보학 연구, 16(1), 78-111.

37.

이명수, 박종희, 김도일 (2001). 인터넷상에서 지각된 플로우와 실용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6(1), 61-84.

38.

이방형, 한상린, 이성근, 이성훈 (2013).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연구, 28, 87- 108.

39.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1(1), 255-265.

40.

이상호 (2014). 소셜미디어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 273-280.

41.

이소희, 김승인, 김희연 (2013).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 동기, 상호작용, 사용자 몰입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1), 479-488.

42.

임아영 (2010). 자기결정적 고독과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43.

장정무, 김종욱, 김태웅 (2004). 무선인터넷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 분석: 플로우 이론을 가미한 기술수용모델의 확장. 경영정보학연구, 14(3), 93-120.

44.

장 훈 (2001). 몰입경향과 심리적 적응지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 활동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45.

장 훈, 한성열 (2010). 몰입(flow) 기능의 재구성: 몰입과 행복 관계에 대한 타인맥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4), 43-62.

46.

정지혜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가 사회자본과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청구논문.

47.

최도순 (2012). SNS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영향분석.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하계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123-191.

48.

최영, 박성현 (2011).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2), 241-276.

4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2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50.

허동욱, 공다솜, 장예빛, 유승호 (2013). 대학생 집단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과 온라인에서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HCI학회, 1, 1072-1074.

5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8.

52.

황농문 (2007).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혁명. 랜덤하우스코리아.

53.

황용석 (2013). 온라인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54.

Adlai-Gail, W. (1994). Exploring the autotelic person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55.

Anandarajan, M., Igbaria, M., & Anakwe, U. P. (2002). IT acceptance in a less-developed country: A motivational factor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2(1), 47-65.

56.

Bargh, J., & McKenna, K. (2004). The Internet and social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1), 573-590.

57.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 246.

58.

Blumler, J. G. (1979).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s Studies. Communication Research, 6(1), 9-36.

5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60.

Carli, M., Fave, A. D., & Massimini, F. (1988).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the flow channels: Comparison of Italian and U.S. students.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pp. 288-318).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Chen, H., Wigand, R. T., & Nilan, M. S. (1999). Optimal experience of web activ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5(5), 585-608.

62.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hday life. Brockman, Inc., New York.

63.

Csikszentmihalyi, M., & Hunter, J. (2003). Happiness in everyday life: The uses of experience sampl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4, 185-199.

64.

Csikszentmihalyi, M., & LeFevre, J. (1989).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815-822.

6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66.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2. 1143-1168.

67.

Ferguson, D. A., & Perse, E. M. (2000).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2). 155-174.

68.

Hills, P., Argyle, M., & Reeves, R.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 investigation of four theories of leisure motiv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8, 763-779.

69.

Katz, E. (1959). Mass communications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An editorial note on a possible future for this journal.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2, 1-6.

70.

Katz, E. (1973). Television as a horseless carriage, In G. Gerbner, et al. (Eds.),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Social Policy, New York: Wiley.

71.

Katz, E., Blumler J. G., & M. Gurevitch (1974). Utilization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individual. In J. G. Blumler & E. Katz (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 (pp. 19-32). Beverly Hills, CA: Sage.

72.

Katz, E., & Foulkes, D. (1962).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as “escape”: Clarification of a Concept. Public Opinion Q, 26(3), 377-388.

73.

Kaye, B. K. (2005). It’s a blog, blog, blog, blog world.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13(2), 73-95.

74.

Kim, J., & Lee, J. E. (2011). The Facebook paths to happiness: Effects of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self-pres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6), 359-364.

75.

Kim, U., Shim, J., & Ahn, K. (2011). Social networking service: Motivation, pleasur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 51(4), 92-101.

76.

Kline, R. B. (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77.

Nielsen (2012). State of the media: The social media report.

78.

Nitzan, U., Shoshan, E., Lev-Ran, S., & Fennig, S. (2011). Internet-related psychosis-a sign fo the times. The Israel Journal of Psychiatry and Related Sciences, 48(3), 207-211.

79.

Patall, E. A., Cooper, A., & Robinson, J. C. (2008). The effects of choice on intrinsic motivation and related outcomes: A meta-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34(2), 270-300.

80.

Quan-Haase, A., & Young, A, L. (2010). Uses and gratifications of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instant messaging.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30(5), 350-361.

81.

Rosen, L. D., Whaling, K., Rab, S., Carrier, L. M., & Cheever, N. A. (2013). Is Facebook creating “iDisorders”? The link between clinical symptoms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technology use, attitudes and anxie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1243-1254.

82.

Seligman, MEP.,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55(1), 5-14.

83.

Social News Daily (2013). Facebook Psychosis: Social networking Will Literally Make You Crazy.

84.

Stafford, T, F., & Gonier, D. (2004). What Americans like about being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47(11), 107-112.

85.

Taylor, D. G., Lewin, J. E., & Strutton, D. (2011). Friends, fans, and followers: Do ads work on social network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1), 258-275.

86.

Turkle, S. (2011).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Basic Books.

87.

Wells, A. (1988). Self-esteem and optimal experience.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p. 327-341).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