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자녀의 물질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정체성 명확성이 조절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참여자들은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은 주어진 글쓰기 과제를 통해 정체성 명확성 조건과 통제 조건으로 무선할당되었다.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지각했던 경험을 작성하였고, 통제 조건에 할당된 참여자는 전날 있었던 일에 대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태 물질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로부터 느낀 학업성취압력과 기질적 물질주의는 정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참여자들의 상태 물질주의가 기질적 물질주의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통제 조건에서는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아가, 정체성 명확성 조작은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상태 물질주의 간의 정적 상관이 통제 조건에서는 유의했으나, 정체성 명확성 조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기질적 물질주의, 성별, 나이, 학년이 공변인으로 투입됨).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두 변인, 즉 학업성취압력과 물질주의가 서로 정적인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으며, 자신만의 내적 기준을 확고하게 확립하는 것이 물질주의를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PAAP) and materiali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dentity clarity between the two. We recruited participants (N = 119) from a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Participan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identity clarity or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experiences in which they clearly felt about and grasped their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asked to describe what had happened the day before without including any subjective thoughts and feelings. Right after the writing task, participants completed a measure of state materialism. Supporting our hypotheses, PAAP and dispositional materialism were positively related. Also,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participants showed decreased state materialism relative to dispositional materialism, while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dispositional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Lastly, identity clarity manip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AAP and state materialism was observed in the control condition, but not in the identity clarity condition, after controlling for dispositional materialism, gender, age, and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