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에서는 사망 원인이 도덕성에 따라 사자 인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죽음에 대한 심리적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적이거나 비도덕적인 인물이 사고사 또는 자연사로 사망했다거나 살아있다고 했을 때, 인물의 지각된 호감도, 유능성, 도덕성, 따뜻함, 인물이 살아온 삶의 가치에 대한 평가, 인물에 대해 추정되는 그리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 긍정 편향으로 인해 인물의 도덕성과 무관하게 인물이 살아있을 때보다 죽었을 때 더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이며, 사망 원인이 자연사일 때보다 사고사일 때 더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따뜻함을 제외한 모든 인상 변인에서 도덕성과 상관없이 죽음 긍정 편향이 일어났으며, 참가자들은 자연사한 인물보다 사고사한 인물이 더 유능하고, 삶의 가치가 더 높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인물의 도덕성에 따라 사망 원인이 공정성에 미치는 효과와 지각된 공정성이 인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도덕적인 인물이 사고사할 때보다 자연사하는 것이 더 공정하며 비도덕적인 인물은 자연사할 때보다 사고사하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물의 사망 원인이 공정하다고 생각할수록 인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죽음 긍정 편향에 대한 문화적 세계관 지지 해석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인상 형성의 대상을 사자로 확장하고, 사망 원인에서 비롯되는 심리적 현상을 탐구하고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aim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eath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ause of death on the posthumous impressions of individuals. Specifically, we explored how impressions are formed regarding perceived likability, perceived competence, perceived morality, perceived warmth, the perceived value of the individual's life, and the sense of longing for the target when a moral or immoral figure experiences accidental or natural death, or stays alive. We hypothesized that the target would be evaluated more positively when they are deceased compared to when they are alive due to death positivity bias and more positively when experiencing accidental death (vs. natural death). The results showed a death positivity bias in all impression variables except warmth. Additionally, the target was perceived as more competent and having higher life value when passed away due to accidental death compared to natural death. Furthermore, we examined how the fairness of the cause of death is perceived based on the target's morality, and how the perceived fairness influences impressions. It was found that natural death was perceived as the fairer cause of death when the target was moral, while accidental death was perceived as fairer when the target was immoral. Moreover, the mor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cause of death to be fair, the more positively they evaluated the target. Lastly,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suggesting cultural worldview endorsement as the mechanism of death positivity bias, we raised questions and discussed the ambiguity of cultural worldview interpretations in death positivity bias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by confirming that impression formation can extend to posthumous contexts, exploring and discovering psychological phenomena stemming from the cause of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