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한국 성인의 코로나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의 변화양상: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중심으로

The Change Patterns of Fear and Anxiety of COVID-19 Infec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Latnet Profile Analysis (LPA)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4, v.38 no.4, pp.303-322
https://doi.org/10.21193/kjspp.2024.38.4.003
김예진(Yejin Kim) (성균관대학교)
김시형(Shi Hyeong Kim) (성균관대학교)
김다솔(Dasol Kim) (성균관대학교)
이동훈(Dong Hun Lee)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의 시간적 변화형태를 확인하고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집단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비일상성, 코로나로 인한 타인불신,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4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다섯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4집단(안정형(집단 1), 낮은 불안형(집단 2), 높은 불안형(집단 3), 불안정형(집단 4))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두려움과 불안의 잠재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 경제수준, 자녀유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여성은 높은 불안형과 불안정형에 속할 확률이 높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안정형과 높은 불안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자녀가 있는 경우와 고연령자와 함께 동거하는 경우 또한 높은 불안형, 불안정형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집단 간 변인의 차이분석 결과, 높은 불안형과 불안정형이 높은 수준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코로나로 인한 타인불신을 보였으며 비일상성 경험의 경우 불안정형이 높은 불안형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형이 가장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과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코로나, 감염에 대한 두려움, 불안, 종단연구, 잠재프로파일분석(LPA)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emporal changes in fear and anxiety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and investigated which demographic variables were expected to influence latetnc class classification. Additionally, investigated perceived stress, non-dailiness experiences, distrust of others due to COVID-19, and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se groups.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five rounds of online surveys from April 2020 to February 2022 with a sample of 600 adults, and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analysis revealed a model with four groups (Stable (Group 1), Low Anxiety (Group 2), High Anxiety (Group 3), Unstable (Group 4)) as the most fitting. Furthermore,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fear and anxiety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 Anxiety and Unstable groups, while older age correl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table and High Anxiety groups. Having children and cohabitating with older adults also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 Anxiety and Unstable groups. Lastly,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variabl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 Anxiety and Unstable groups exhibit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and distrust of others with the Unstable group experiencing more non-routine experiences compared to the High Anxiety group. The Stable group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and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keywords
Coronavirus disease 19(COVID-19), fear of infection, anxiety, Longitudinal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5-17
수정일Revised Date
2024-08-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8-2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