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직무요인의 두 차원 : 개인의 만족과 조직의 이익

Two Dimensions in Job-Factors : Individu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rofi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88, v.4 no.1, pp.473-498
박영석(Young-Seok Park)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직무요인의 차원성이 양극적 이중차원임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I은 단극적 이중차원론(Herzberg, Mausner, & Snyderman,1959)과 양극적 단일차원론(Locke, 1976)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고, 연구II와 연구III은 양극적 이중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연구I의 결과 단극적 이중차원론과 양극적 이중차원론이 각각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전자는 직무요인의 구조면에서 후자는 차원의 극성 (polarity)면에서만 지지되었다. 직무요인들을 요인 분석하여 직무요인이 개인의 요구 요인과 조직의 요구요인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연구II는 개인의 만족-불만족 차원과 조직의 이익-불이익 차원을 준거로 하여 각 차원에서 개인의 요구요인의 변별정도의 조직의 요구요인의 변별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요구요인을 설명하는 차원은 개인의 만족-불만족 차원이었고 조직의 요구요인을 설명하는 차원은 조직의 이익-불이익 차원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양극적 이중차원성이 지지되었다. 연구III은 개인의 요구차원과 조직의 요구차원을 준거로 삼아 각 차원에서 개인과 조직간의 요구 교환정도를 변별하도록 설계하여 양극적 이중차원을 재검증코자 하였다. 이것을 경력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경력단계가 낮을수록 개인의 요구차원에서 더 잘 변별하였고, 경력단계가 높을수록 조직의 요구차원에서 더 잘 변별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논의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직무재설계에 시사하는 점을 검토하였고, 개인의 요구차원과 조직의 요구차원이 만나 생성된 요구합치성 차원과 요구교환성차원이 조직과 개인의 목표일치와 갈등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dimensinality of job-factors. Experiment I was designed to test the unipolar dual dimensionality(Herzberg, Mausner, & Snyderman, 1959) and the bipolar single dimensionality(Locke, 1976) of job-factors. Experiment II and III were designed to test the bipolar dual dimensionality of job-factors. In experiment I,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vious two theories partially. That is, the unipolar dual dimension theory was accepted only in the structure of job-factors, and the bipolar single dimension theory was accepted only in the polarity of dimension. Two factors in job-factors were also identified by factor analytic method in this experiment : One is individual-demands factor such as recognition, achievement, advancement, possibilty of growth, salary, status, job security, and personal life. The other is organizational-demands factor such as supervision, responsibility, amounts of work, work conditions, organizational policy and management, and thre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supervisors, with coworkers, and with subordinates. In experiment II, the bipolar dual dimensionality was verified. Individual-demands factor was more explained by individual satisfaction-dissatisfaction dimension, and organizational-demands factor more by organizational profitloss dimension. In experiment III, it was observed that the lower the organizational tenure stages, the higher the expected mismatch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in the exchange level of individual-demands factor. And it was also observed the trend that the higher the stages the higher the expected mismatch between them in the exchange level of organizational-demands factor. Additionally two hypothetial dimensions, demands-congruence dimension and demands-exchange dimension which were combined by individual-demands dimension and organizational-demands dimension, were observ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job redesign, individual-organizational conflict, and individual-organizational goal congruence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