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협동과제 수행에서 범주화와 성과정보가 내집단 편파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egorization and Outcome Information on Reducing Intergroup Bias in the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122-131
최광선(Kwan-Sun Choi)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안상수(Sang-Su Ahn)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집단의 편파 감소에 미치는 협동의 효과를 집단 경계의 현출성을 조작한 집단 범주화 유형과, 과제수행 결과의 성과유형 사이에서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협동적 과제에서의 편파감소의 효과는 집단 경계의 현출성 약화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과, 협동의 효과 결정에 과제 수행의 성과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집단의 상위 범주화와 하위 범주화를 비교해 볼 때 상위 범주화에서는 성공과 실패에 따른 내·외집단 평가에 차이가 작았던 반면, 하위 범주화에는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연구가 집단간 유인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건들을 확인하는데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the social categorization and outcome information on reducing intergroup bias in the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In the first phase of the present study, members of the two groups either wore similar uniforms or different uniforms to distinguish the groups.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the two groups were combined and worked cooperatively on the tasks. And the outcome of the cooperative endeavor was manipulated so half the groups succeed and half fail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one-group members (superordinate group) showed lower intergroup bias than the separate-two group members (subordinate group). (2) Success at the task increased the elimination of former group identies during intergroup cooperation. (3) The one-groups in the success feedback condition have lower degrees of bias than the separate-two groups in the failure feedback condi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