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심리학 이론의 문화특수성 :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연구를 위한 고찰

Cultural Limitations of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 A Review for the Social Psychology of Korean Peop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132-155
한규석(Gyu-Seog Han) (전남대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회심리학이 다루는 현상 및 이론들이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권의 특수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문화권의 현상을 설명하는데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잘못이다. 본고는 교환현상, 정서표현, 사회적 동기의 발현, 자기 제시현상, 사회비교, 귀인의 편향, 인지일관성 동기의 제 현상이 어떻게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관련연구와 추론을 통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고려해야 할 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Abstract

To understand the social psychology of Korean people, researchers should examine cultural limitations of those psychological theories developed in the Euro-American culture. To substantiate this issue, 1 reviewed empirical evidences and arguments questioning the universality of psychological theories in seven domains ; social exchange, emotional experience, social motives (N-Achievement, N-Affiliation, & N-Power), self-presentation, social comparison, attributional biases, and cognitive consistency. This review concluded that it is critical to delineate cultural representations of indigenous phenomena and to conduct social psychological investigation of them. Finally, few sugges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future research in the area.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