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맹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Ⅱ) : 敎育論과 道德實踐論을 中心으로

The Psychology Implied in the Works of Mencius(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73-108
조긍호(Geung-Ho Cho)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人性論을 중심으로 했던 앞선 글(조긍호, 1990)에 이어 맹자의 교육과 도덕실천론을 중심으로 그 심리학적 항의를 고찰하였다. 맹자의 교육론은 인간의 이상적 可能態를 상정하고, 누구나 이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능동적·주체적으로 이를 지향하는 노력의 과정을 강조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그의 교육론으로부터는 성격 및 발달심리학과 관련된 연구 문제인 이상적 인간형의 특징과 그 도달 단계의 문제와 학습 및 교육심리학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이 도출되었다. 한편 맹자의 도덕실천론은 인간의 존재 의의를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는 전제하에 推己及人과 興民同之를 통해 사람들과 함께 선을 이루는 與人爲善을 지향하는 과정을 강조한다는 데 그 요점이 있다. 이러한 그의 도덕실천론으로부터는 사회심리학과 관련된 연구 문제인 사회 관계와 타인 이해 과정의 문제들 도출되었는데, 이러한 연구 문제들은 교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현대 사회심리학과 인간의 사회적 존재 특성을 강조하는 맹자의 입장으로부터 이끌어지는 사회 관계 파악의 眺望이 본질적으로 상치되고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추론되는 것들이었다.

keywords

Abstract

Continued from the previous paper (Cho, 1990) regarding Mencius' theory of human nature and its psychological implications, this article aims to extract some psychological lessons from Menicus' view on education and that on moral practice. Presupposing the possible ideal state of human being, Menicus thought that anyone can reach to this state if he/she realizes that one has inborn beginnings of four virtues(i.e., the feeling of commiseration, the feeling of shame and dislike, the feeling of modesty and complaisance, and the feeling of approving and disapproving) and strives actively and subjectively for a full flourish of these beginnings into four ultimate virtues(i.e., benevolence, rightousness, propriety, and wisdom) in everyday relationships with others. Mencius taught that one can come to the realization of his/her inborn beginnings of four virtues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and that he/she can strive for a full flourish of those beginnings into ultimate virtues through moral practice in relations with others. From these Mencius' points, two psychological research issues can be derived. One is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sible ideal state of human being and on the steps as well as methods for reaching it. Another is the study on the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human social relation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social exchange paradigm in the modern social psychology, and on some related social activities(i.e. the performance of role and harmony in social relation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