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착각적 상관이 개인의 집단지각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 비판적 연구

The Determinants of the Subject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Groups in Illusory Correlation Paradigm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58-72
전우영(Woo-Young Chu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착각적 상관연구들에서 나타나는 피험자의 집단간 평가와 집단지각의 결정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집단에 대한 차별적 평가의 원인이 기존의 가정처럼 소수집단만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즉 집단에 대한 평가는 비율에 근거한 판단보다 다수집단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고수집단은 더 부정적으로 평가한 상대비교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러한 상대비교를 토대로 한 판단의 경향은 상대적 정보량, 즉 A선호정보량(A바람직+B비바람직)과 S선호정보량(B바람직+A비바람직) 간의 차이가 커질수록 증가함이 밝혀졌다. 실험 2에서는 부호화 단계에서 독특성이 공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추정의 오류가 발생하고 집단에 대한 차별적 평가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착각적 상관연구에서 나타난 추정오류가 부호화 단계에서 일어나는 소수집단과 회귀성 정보간의 독특성의 공발생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the subject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groups in illusory correlation paradigms. The study conducted two experiments. The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cause of the subjects' differential evaluations of groups was not resulted from the subjects' negative evaluations of the minority group only as was assumed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evaluations of groups were based on a relative comparison in which the majority group is evaluated more positively and the minority group more negatively.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bjects' group evaluation when they evaluated the group based on a ratio of the desirable and undesirable stimulus behaviors. Also, it was found that this subjects' judgmental tendency of relative comparison increased as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elative behavioural indices between the two groups increased. The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subjects' frequency estimation errors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not caused by the distintive co-occurrence of the minority group and the infrequent behaviours of the group at the subjects' encoding of the informations. Even under conditions where the ditinctiveness did not co-occur at the encoding stage, estimation error occured and the subjects' differential evaluation of the group was maintain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