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다수영향과 소수영향에 관한 단일과정이론과 이중과정이론의 타당성을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4개의 가상적 집단문제해결 상황을 설정하여 180명에게 다수영향과 소수영향에 관한 영향상황, 영향원인, 영향행동을 자유반응케 하고, 이를 상황의 확실성/불확실성의 수준에서 각각 분석했다. 실험연구에서는 집단토의가 예견된 상황에서 112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유형(확실성/불확실성), 영향원유형(다수/동수/소수/통제), 반응유형(공적 반응/사적반응)의 요인설계에서 반응유형을 반복측정한 2*4* (2) 혼합요인설계를 시용하였다. 조사연구로부터 다수영향에서는 규범적 영향상황, 비교과정에 의한 영향원인, 통제적인 영향행동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소수영향에서는 정보적 영향상황, 타당화과정에 의한 영향원인, 혁신적인 영향행동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실험연구에서 영향원과의 의견 차이를 종속변인으로 측정한 결과, 타인의 반응으로부터 영형을 받지않는 통제조건보다는 소수가 영향력이 컸다. 또한 다수와 소수간에는 영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영향력의 크기는 다수, 소수, 반수의 순으로서 단일과정이론이 지지되지 않았다. 확실과제의 수행상황과는 달리 불확실과제의 수행상황에서는 공적반응에서 다수가 통제나 동수보다 사회적 영향이 유의하게 컸으나, 사적반응에서는 다수와 소수가 유의하게 통제조건보다 큰 영향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소수영향과 다수영향에 대한 단일과정이론이 지지되지 않았으며, 소수영항향은 불확실상황에서만 사적반응을 더 많이 일으킴으로써 이중과정이론이 불확실상황에서 지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ve validity of the single process model and the dual process model in majority and minority influences through a survey research and an experimental studty. We hypothesized, based upon the dual process model, that majority and minority influences are moderated by the level of situational uncertainty and types of responses(public/private responses). In the survey 180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plausible situational, behavioral and causal explanations about majority and monority influences under the certain or uncertain outcome conditions. In the experiment 112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8 conditions with 3 way factorial design, ie., certain/uncertain task situation(2) ×source size(4) ×public and private response with repeated measure(2).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had stronger mormative and informational influences compared to the equal size source or minority, especially under the uncertain task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f minority on the private response under the uncertain task conditions. We interpreted the results as a supportive evidence for the dual process model, and discussed some unsolved issues in this study for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