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소외의 심리학적 개념화

A Psych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Alien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71-88
민경환(Kyung-Hwan Min)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소외는 철학의 역사와 더불어 그 의미가 변천해 온 개념으로 Marx이후에는 근대 산업사회에서의 인간의 존재양태를 지칭하는 문명비평적 개념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소외는 개인의 행동에 촛점을 맞추는 경험자학인 심리학에서는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소외는 중요한 심리현상으로서 인식론에 치우친 심리학에 도입하여 조명할 필요가 있는 존재론적 개념이다. 필자는 소외를 '자기와 행동간의 통합의 상실 혹은 부재'로 정의함으로써 소외를 심리학적으로 개념화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심리학적 정의를 토대로 하여 소외의 유발조건들, 탈소외의 방략들, 소외와 관련된 심리현상들, 및 소외 심리학에서의 연구과제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concept of alienation has undergone changes in its meaning through the history of philosophy. Since Marx it has been used as a civilization-criticizing concept which indicates humanbeing's existential modes in modem industrial society. Therefore alienation has been neglected in psychology, an empirical science focusing on an individual's behavior. However, alienation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also an ontological concept which needs to be introduced into and illuminated in epistemologically-biased psychology. The present author proposed a psych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alienation by defining alienation as the loss or absence of integration between one's self and his behavior. Based upon such psychological definition several related topics were discussed. They were alienation-provoking conditions, dealienation strategies, alienation-related psychological phenomena, and future research subjects in the area of psychology of aliena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