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지역고정관념이 귀인판단과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ional Stereotypes on Attribution and Impression Judgmen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53-70
김혜숙(Hai-Sook Kim)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지역고정관념과 일치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보다 내적ㆍ안정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귀인하며 따라서 대상인물에 대해 더욱 극단적으로 인상을 형성하게 되리라는 가설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과연 지역고정관념이 귀인판단과 인상평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피험자들은 대상인물의 고향에 대한 정보(호남ㆍ영남ㆍ무정보)를 받고 나서 호남 혹은 영남 고정관념적인 행동 에피소드를 읽었다. 후에 그들은 대상인물의 행동에 대한 여러 귀인판단과 전반적 인상 호감도ㆍ행동의 바람직성 등에 대한 평가 그리고 대상행동에 대한 회상기억을 요청받았다. 그 결과, 가설대로 피험자들은 영남 고정관념적인 행동에 대해 대상인물의 고향이 영남이라고 생각했을 때 호남이라고 생각하거나 아무 정보를 받지 않았을 때에 비해 대상행동을 덜 외적인 것으로 귀인하였고, 대상인물을 더욱 성급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호남 고정관념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비록 제한된 경우에 국한되었으나, 호남대상 인물의 경우에는 이 행동을 더욱 안정된 행동으로 귀인하였으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평가되었다. 실험 2에서는 가설대로, 영남 고정관념적인 행동이 내적으로 귀인되었을 때 외적으로 귀인되었을 때보다 대상인물을 더욱 성급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지각하였으며, 또한 그 행동이 더욱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제적 의미와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people attributed the behavior that was consistent with regional stereotypes to internal stable factors and as a consequence, they would form more extreme impression about the target person.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the regional stereotypes indeed affcted attribution and impression judgment. Subjects read Honam or Youngnam-stereotypic behavior episodes after they had been informed of the hometown (Honam, Youngnam or no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Subjects were then asked to make attribution judgment and impression judgment(general impression, liking, evaluation of the desirability of the target bahavior), and they were also asked to recall the episodes that they had read about the target person. The results showed that as expected, subjects attributed the Youngnam-stereotypic behavior of the target person less to external factors and tended to evaluate the target person as being more impatient and unwise when they thought he was from Youngnam than when he was from Honam or when no information wa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Honam-stereotypic behavior, subjects attributed the target behavior more to stable factors and evaluated it as being less desirable when the target person was from Honam than in other conditions, althoush these results were limited to certain situations. The results of Experiment 2 demonstrated that as expected, subjects perceived the target. person as being more impatient and unwise when the internal attribution regarding Youngnam-stereotypic behavior was provided than when external attribution was provided. They also evaluated the target behavior less desirable in the former case than in the latter cas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