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사회적 영향에 관한 이론들의 상대적 타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덕웅(1994)이 제안한 실험 방략을 적용하여 다수나 소수가 일관되거나 일관되지 않게 모두 범주화된 조건에서 공적 영향과 사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내집단 일관 범주화, 내/외집단 교차 범주화(내집단-외집단, 외집단-내집단) 및 외집단 일관 범주화된 영향원의 규모가 각각 다수거나 소수인 조건에서 공적반응과 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교차 범주화 조건은 내집단-외집단 및 외집단-내집단 범주화 조건을 통합한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집단 범주(3), 영향원 규모(2) 및 반응 유형 (2)의 3×2×(2) 실험 설계에서 반응 유형은 피험자내 변인으로 반복 측정된 혼합요인설계였다. 대인적 타당화가 가능한 화실 과제 조건에서 얻어진 이 실험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영향의 크기는 내집만-내집단, 외집단-내집단, 내집단-외집단 및 외집단-외집단으로 집단 범주화한 차례대로 나타나서 사회적 정체성 이론 및 자기 범주화 이론이 지지되었다. 다수는 공적 반응에. 그리고 소수는 사적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다수/소수와 반응 유형의 상호작용을 예언하는 이중 과정 이론 역시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한덕웅(1994 ; 정지숙과 한덕웅, 1992)의 선행 연구와도 일치된다. 내/외집단 범주화와 반응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은 점은 사회적 정체성 이론 및 자기 범주화 이론에 유리한 결과로서 해석되었다. 집단 범주화, 영향원 규모 및 반응 유형의 삼원 상호작용은 유의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p<.10) 예언과 일치되는 추세를 보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relative validity of the theories concerning social influence of majority and minority. Under the conditions of consistent ingroup categorization, crossed categorization (ingroup-outgroup, outgroup-ingroup), and consistent outgroup categorization, the public and private influence were measured. A 3(group categorization)×2(size of sources)×2(response type) mixed factorial design was used with the last factor as a within-subject variable. Six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condition including two conditions of crossed categorization. Since the task certainty was held in a relatively high level, it was assumed that interpersonal validation would be possibl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ocial influence was highest in the consistent ingroup categorization condition, and the remaining conditions were ordered as outgroup-ingroup, ingroup-outgroup, consistent outgroup categorization condition. This was interpreted as a supportive evidence for the social identity theory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Second, majority exerted more influence on the public response than the private response, but a reverse trend was found in the minority condition. Thus, dual process theory which assume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urce size and response type was supported. This result is also consistent to the previous studies (Hahn, 1994 ; Jung & Hahn, 1992).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categorization and respons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a supportive data for the social identity theory and self-categorization theory. Finally, a 3-way interaction effect among group categorization, size of sources, and response type was not significant, but the overall trend was found as predi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