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적 범주화, 가치 선호 및 내집단 편애

Social Categorization, Value Preference and Ingroup Favoritis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4, v.8 no.2, pp.108-123
이해경(Hae-Gyoung Lee)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이수원(Soo-Won Lee)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범주화에서 내집단 편애가 유발되는 원인을 밝히려 하였다. 연구의 가정은 사람들이 내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그 집단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판단준거로 해서 세상을 해석하고 평가하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내집단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입각해서 내집단과 외집단을 판단하기 때문에 내집단을 선호하고 외집단을 배척하는 내집단 편애가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이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피험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범주화, 탈범주화 및 재범주화 처치를 가하였다. 범주화 조건은 성범주를 특출하게 하여 남여 성범주에 자신의 정체를 동일시하도록 처치한 조건이다. 이 조건에서는 내집단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판단준거로 삼아 내외집단을 평가하기 때문에 내집단 편애가 증가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반면에 남녀 범주를 하나의 단일집단으로 묶어 범주경계를 재설정한 재범주화 조건이나, 범주경계를 해체하여 개인화시킨 탈범주화 조건에서는 남녀 범주에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기 때문에 내 집단에서 추구하는 가치가 내외집단을 판단하는 준거가 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들 조건에서는 내집단 편애가 감소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연구결과 이 예언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source of an ingroup favoritism in social categorization. It is hypothesized that the ingroup favoritism occurs because individuals evaluate both the ingroup and outgroup with the criteria of the ingroup values. In order to examine this hypothesis,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and given a treatment of categorization, decategorization and recategorization respectively. The categorization condition was created by making sexual identity salient. Subjects were manipulat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sexual categories. In this condition, the ingroup favoritism wa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individuals judge both the ingroup and outgroup by the criteria of ingroup values. In contrast, the recategorization condition in which the boundary of male and female categories were reset into one-group and the decategorization condition in which the boundary of categories were eliminated are expected to decrease the ingroup favoritism. These hypothesis were confirmed by the given experimental data.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