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 동향 : 1985-1994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on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 1985-199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4, v.8 no.2, pp.3-33
나은영(Eun-Yeong Na)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85년 이후 최근 10년간의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들의 특징을 (1)사회인지 연구와의 접목, (2)자아관여 변인의 중요성 인식, (3)동기적 및 기능적 접근의 부활, (4)태도로부터의 행동 예언력 향상을 위한 노력, (5)소홀했던 영역들(예: 태도의 변화에 대한 저항 및 지속성, 태도변화에 미치는 감정적 요인의 효과)에 대한 관심 증가, 그리고 (6)태도변화 연구의 응용 분야 및 분석 방법의 다양화라는 여섯 범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최근 태도변화 연구들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인지적 접근과 동기적ㆍ정서적 접근이 균형을 이룰 뿐만 아니라 이 과정들이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다는 점이다. 태도 및 태도변화와 관련된 새로운 이론들도 전통적인 이론들과 연속선상에 있지만, 과거와는 달리 정보 수용자를 능동적인 존재로 가정함으로써 수용자의 기존 지식이나 감정의 효과까지 포괄하는 보다 정교한 이론이 발전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keywords

Abstract

Current research on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during the last decade (1985-1994) was reviewed.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resurgence of attitude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 (1)the interface with social cognition research, (2)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go-involvement concept, (3)the revival of motivational and functional approaches, (4)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behavior predictions based on attitudes, (5)increase of interests in the neglected area of research(e.g., resistance to attitude change, persistence of changed attitudes, effects of affective factors on attitude change), and (6)extend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refined methods of analyses. The most salient characteristic of current attitude research seems to be the balance between cognitive and motivational/affective approaches as well as their intertwinement with each other in attitude theories and research. New theories on attitudes and persuasion are basically in line with traditional theories but assume a more active message recipient than before, so that more elaborated theories are recently developed which can cover the effects of recipients' prior knowledge and affects. Strongly-held attitudes have been more and more important in current attitude research with relation to the concept of ego-involvement, because highly-involved attitudes are less likely to change and more useful to predict behavior.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