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순자에 (荀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 (含義) (Ⅰ) : 天人關係論 기초한 연구 방향의 定礎

The Psychology Implied in the Works of Hsun Tzu(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4, v.8 no.2, pp.34-54
조긍호(Geung-Ho Cho)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筍子의 심리학적 해석 작업을 위하여 筍子 32편을 개관한 다음 심리학적 관련이 깊은 순자의 기본 사상을 인성론, 예론, 수양론으로 나누고, 이들로부터 심리학적 연구문제들을 이끌어 내려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러한 순자 사상 전체를 꿰 뚫고있는 이론적 뼈대를 그의 天人關係論을 중심으로 하여 도출해 내었는데, 이는 <分과 合〉의 체계였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순자의 인성론, 예론, 수양론이 모두 이러한 <分과 合>의 이론적 뼈대를 기초로 하여 성립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로부터 이끌어 내어지는 몇 가지 심리학적 연구문제를 제시해 봄으로써 후속되는 筍子의 해석 작업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려 하였다.

keywords

Abstract

To extract some psychological lessons from the works of Hsun Tzu one of the great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pre-Ts'in period, the author reviewed and classified Hsun Tzu's main ideas which have deep psychological implications into three categories : theory on the human nature, on the rites and on the self-cultivation. Before delving into each of these theories to draw psychological implications, the author tried to search for the Hsun Tzu's basic theoretical paradigm, which seems to be the coherent backbone of all his ideas, from his the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the human being, and found out that it is. This paper dealt with this basic theoretical paradigm and showed that all of the Hsun Tzu's thoughts is built on this paradigm and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them can be analyzed based on i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