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사회문제와 국민성, 그리고 개혁을 위한 제안들

Social Issues and National Character of Korea and Suggestions for Chang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5, v.9 no.1, pp.27-44
홍숙기(Sook-Kee Hong)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우리의 사회문제들은 사회의 존속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 수위를 넘어섰고, 개인의 행동에 집중해 온 심리학자들도 이제 사회문제들과 그 해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사회문제들을 알아보고, 그것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시민운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한국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지각되는 문제들은 한경, 정치, 교육문제들이다. '국민성' 때문에 사회문제들이 생긴다고 흔히 생각되는 바, 한국의 국민성에 대한 견해들이 개관되었다. 많은 한국적 특성들은 집단주의 개념아래에 포괄될 수 있다. 우리의 집단주의의 문제는 그 폐쇄성과 배타성에 있으므로, 사회문제들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서는 '우리'집단의 범위를 확대하고 공동체감을 키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안된 현실개혁의 방안들로서 차재호 (1994b)의 「문화설계의 심리학」과 전득주 외 (1992)의 「현대민주시민 교육론」을 논의하였다. 차재호는 의식개혁을 작동적 조건형성 원리에 따라 국민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문제로 보고 그 전략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그의 방안은 그러한 사회실험의 성공을 위한 '예비조치' -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용의, 즉 '의식개혁' - 에서 벽에 부딪친다. 정부가 특히 부패와 관련된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것은 민주화된 정부를 전제하는 바, 이에 따라 민주시민 교육의 원리와 방법 (전득주 외, 1992)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이 저자들도 교육이 성공하려면 사회지도층과 교육자를 민주시민으로 교육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정부와 교육전문가가 국민을 이끌어 가기보다는 오히려 시민이 지도층을 이끌어 가야 하는 현실에서 사회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시민이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은 비판, 감시를 통하여 지도층 행동을 봉제하면서 동시에 시민들 자신의 의식과 행동을 비판, 반성하는 계몽을 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 그러한 시민운동의 한 예로서 환경운동의 활동이 소개되었다. 환경운동은 환경이 나빠지지 않게 함으로써 주민/시민에게 안녕감과 통제감을 주고, 환경은 너나 없이 우리 모두의 환경이며 그것의 개선 또한 공동의 노력으로만 가능함을 분명히 함으로써 공동체감을 키워준다. 그러한 안녕감과 공동체감은 우리의 집단주의의 폐쇄성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bstract

As social issues of Korea get so serious that they seem to endanger the existence of the society, psychologists who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individuals are showing interest in the study of social issues. Social issues considered important by Korean people involve environment, politics, and school education. As these problems are usually attributed to the Korean "national character", studies of national character were reviewed. Many of the pereonality characteristics held typically as Korean are associated with collectivism. Hie trouble of the Korean collectivism sems to lie in its exclusiveness; the "we"-group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non-family members of the greater community. Two of the suggested programs for social reform were discussed: "Psychology of Culture Design"(Cha, 1994b) and "Moder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Chun et al, 1992). Cha maintains that "consciousness change"(cultural reform), which is widely considered as the cure for many social diseases, is in fact behavior modification of people through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of operational conditioning. However, this program may not be implemented, as the suggested "preparatory measures", the active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ve bureaucrats, are unlikely to be taken. Only a democratic or democraticized state would actively set out to attack the social problems, especially those originating from political corruption. So principle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Chun et al, 1992) were discussed. But here also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politial elite and school staff should be educated to act democratically,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can be successfully enacted by them. It seems that people should guide and educate politicians and educators rather than be guided by them. In other words, civil movement is in order for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It was argued that people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should monitor and control the actions of the social and political elite and at the same time engage in self-criticisms to change their own attitude and behavior. As one of the successful examples, the environmental movement was described. The residents/citizens get sense of well-being and control through keeping their environment safe. They also realize that environment concerns everyone and its protection requires collective action, which fosters their sense of community. Such sense of well-being and sense of community may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exclusiveness of the Korean collectivism.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