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귀인상황의 공개성과 (집단)자아존중이 자기고양 귀인과 집단고양 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ublicity of the attribution and (collective) self-esteem on self-serving and group-serving attribution bia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5, v.9 no.1, pp.45-63
김혜숙(Hai-Sook Kim)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고양 귀인 (연구1)과 집단고양 귀인 (연구2ㆍ연구3)이 귀인상황의 공개성과 개인차이에 의해 어떻게 영향받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1에서는 개인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자기고양 귀인이 익명의 상황에서만 나타나고 공개적 귀인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경향은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들에서 더욱 뚜렷하게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토하였다. 연구1의 결과는 그러나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자신의 성공을 실패에 비해 내적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익명의 귀인상황에서 보다는 공개적 상황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또한, 자아존중이 높은 사람들은 귀인상황에 상관없이 자기고양적 과제 평가를 보이지만 자아존중이 낮은 사람들에 있어서는 특히 공개적 귀인상황에서 만이 이러한 경향이 뚜렷이 나타남을 보였다. 연구2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집단고양귀인이 보편적이어서 귀인상황의 공개성 여부에 상관없이 나타나리라는 가설을 검토하였다. 또한, 집단고양귀인은 집단자아존중이 높을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리라고 예상하였다. 그 결과, 실험실의 집단작업 상황에서 집단고양 귀인이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밝혔는데, 또한 외적 귀인에 있어서는 이러한 집단고양이 공개적 귀인상항에서 익명의 귀인상황에서보다 더욱 약하게 나타나게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2에서는 또한 집단작업에 대한 동료교양적 귀인이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공개적 상황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밝혔다. 그러나, 집단자아존중은 아무런 효과를 자아내지 못하였다. 이와같은 집단고양적 귀인은 연구3의 실생활의 상황에서도 반복되어 신뢰로운 결과임이 밝혀졌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들의 이론적ㆍ현실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ivateㆍpublic nature of the attribution situa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collective) self-esteem on the self-serving and the group-serving attribution bias. Study 1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the self-serving attribution regarding the performance in an individual task would be obtained only in the private attribution situation but not in the public situation, and that this tendency would be especially shown for the subjects high in self-esteem. The results of Study 1 however, only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whereas those high in self-esteem demonstrated the self-serving attribution and task evaluation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attribution situation, low self-esteem people showed such tendency only in the public attribution sitation. The results of Study 2 demonstrated a strong tendency of group-serving attribu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group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of Study 2 also showed that the group-serving external attribution was weakened in the public situation.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eammate-serving attributions on the results of group task performance, which was intensified in the public situation. The results of Study 3 further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dings in Study 2, obtaining similar group-serving attribution in real-life situ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