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사회 문제의 지각 차원

Perceived Dimensions of Social Problems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5, v.9 no.1, pp.99-111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최훈석(Hoon-Seok Choi)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강혜자(Hye-Ja Kang)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이경성(Kyung-Seong Lee)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박군석(Kun-Seok Park)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국 5개 지역 대학생과 학부모 1812명 가운데 40% 이상이 한국의 중요한 사회 문제라고 판단한 65개 항목들이 구성하는 중요한 지각 차원을 알아 내고, 이 차원들을 중심으로 중요한 사회 문제와 시급한 사회 문제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68명이 이 사회 문제들의 유사성에 따라서 10개 내외의 범주로 분류한 자료로부터 65개 사회 문제들 상호 간의 거리값 행렬을 얻고, 이를 군집 분석과 다차원 분석했다. 두 분석 방법을 통해서 해석이 일치될 수 있는 두 차원 (stress=12.8%)을 얻었다. 두 차원 가운데 제 1차원은 정치ㆍ경제ㆍ사회 문제로 구성된 제도ㆍ구조적 정부 정책 - 문화ㆍ교육ㆍ청소년 문제로 구성된 국민 생활 문화 차원이었으며, 제 2차원은 경제ㆍ지역 불공정 - 생활 환경 차원으로 명명되었다. 사회 문제로서 중요성과 시급성을 판단한 자료를 보면, 정치인 부정 부패/부조리, 환경 오염, 교통 체증/교통난과 농수산물 수입 개방/우루과이 라운드가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그 밖의 15위 이내의 항목들을 비교해 보면 중요성과 시급성의 순위가 크게 달랐다. 시급성 판단에서는 사회의 구조ㆍ제도ㆍ정책 과제들이 높은 순위에 많이 포함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1) the perceived dimensions of important social problems and (2) urgency of social problems in current Korean society. Eighteen hundreds and twelve respondents includi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5 regional areas were asked to identify important social problems, and 65 items on which more than 40% of respondents agreed were, then, selected. The inter-item distance matrix of those 65 items was computed by using the similarity data obtained from independent 6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consistently indicated the following two dimensions (stress=12.8%). The first dimension was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government policies vs. people's life style, which were composed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vs. cultural, educational, and juvenile problems, respectively. The second dimension was economic and regional injustice dimension vs. daily life environment dimension. Corruption of politicians, environmental pollution, traffic problems, and lift market/Uruguay Round were judged as highly important and urgent social problems. The perceived urgency of remaining items differed from the importance judgment. Regardless of the importance, issues concerning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political problems were interpreted as highly urgent problem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