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두 유형의 사회적 기대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wo Types of Social Expectation on Self-Control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5, v.9 no.1, pp.85-97
정영숙(Young-Sook Chong)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고통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자기통제 상황에서 칭찬과 같은 자기지향적 사회적 기대로 인한 자기통제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고통을 제어할 수 있는 대안적 원천의 하나로서 타인 (어머니)에게 발생할 득을 기대하는 타인지향적 사회적 기대로 인한 자기통제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오른손잡이 국민학교 5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신체적 고통과 지겨움을 느끼는 왼손으로 글자쓰기 과제를 사용하여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자의 칭찬에 대한 기대의 효과 대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의 효과를, 실험 2에서는 어머니의 칭찬에 대한 기대 효과 대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첫째, 왼손으로 글자쓰기를 열심히 수행하는 것이 어머니를 기쁘게 하는 것이라고 알려준 조건의 아동들이 그 과제를 열심히 수행하면 실험자로부터 참을성 있고 착한 어린이라는 칭찬을 받게된다고 알려준 조건의 아동들보다 왼손으로 글자쓰기를 더 오래 하였다. 둘째, 과제 수행을 통해서 어머니의 칭찬을 기대하도록 유도한 조건의 아동들과 어머니의 기쁨을 기대하도록 유도한 조건의 아동들 간에는 왼손으로 글자쓰기를 한 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의외의 결과로서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와 어머니의 칭찬에 대한 기대 둘 다를 유도했던 조건의 아동들은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만을 유도했던 조건의 아동들보다 왼손으로 글자쓰기를 더 짧게 수행하였다.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가 아동으로 하여금 고통을 극복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결과는 어머니에 대한 아동의 배려가 자기통제의 중요한 원천의 하나임을 입증해 줌으로써 아동의 자기통제에서 어머니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사회적 보상의 효과를 연구할 때에 사회적 보상을 주는 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과 어머니의 기쁨에 대한 기대가 내재적 동기의 성질을 지닐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other-centered social expectation as an altenative source to self-centered social expectation in enhancing self-control in the presence of salient obstacles (e.g., working hard painful task).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two types social expectation on self-control. Fifth grade right-handed children copied mirror-image letters with their left hand without a pause. This task was very laborious and tedious to children. We compared the effect of children's expectation of approval from experimenter (self-centered social expectation) with that of children's expectation of their mother's joy (other-centered social expectation) on self-control in Experiment 1. And in experiment 2, the effect of children's expectation of approval from their mother (self-centered social expect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children's expectation of their mother's joy.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ed that children who were induced to expect their mother's joy performed the task longer than those who were labelled 'being patient and good child' by an experimenter, results of experiment 2 were as follows: 1) children who were induced to expect their mother's approval performed the task as long as those who induced to expect their mother's joy. 2) Unexpectedly, children who were induecd to expect both mother's joy and mother's approval performed the task less longer than those who were induced to expect their mother's joy only. We discussed the nature of expectation of mother's joy and that the effect of social reward on self-control can be different from depending on those who give social reward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