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참전 PTSD 환자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판 MMPI 하위 척도 개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MMPI Subscale for the Assessment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1996, v.1 no.1, pp.105-113
최영안 (한국보훈병원)
노명래 (순천향대학교)

초록

우리나라에서 전쟁 관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심리 평가법이 거의 없다. 본 연구의 초점은 경험적 자료에 기초해 전쟁 관련 PTSD의 평가와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한 MMPI의 활용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즉 한국판 MMPI의 전쟁 관련 PTSD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69명의 환자가 PTSD집단(N=30), PTSD가 아닌 전투 참가 정신과 환자 집단(N=39)으로 분류되었다. 전투에 참가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재향군인의 자료로 32명을 사용하였다. MMPI의 임상 척도 중 전쟁 관련 PTSD집단과 PTSD가 아닌 전투 참가 정신과 환자 집단을 변별해 주는 척도는 하나도 없었다. 따라서 두 집단을 가장 잘 변별해 주는 문항으로 MMPI의 한국판 PTSD하위 척도를 개발하였다. 39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이 척도로 PTSD와 PTSD가 아닌 참전 정신과 환자 집단을 정확히 분류하는 백분율은 68.12%였다. MMPI의 임상척도와 함께 판별함수 구한 결과, PTSD척도, Sc척도 그리고 Pt척도가 판별함수로 구성되었고, 이 판별함수의 정확분류률은 79.71%로 증가하였다. PTSD와 PTSD가 아닌 전투 참가 정신과 환자 집단간의 변별 타당도와 본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pirically-based criteria, utiliz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to aid in th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combat-related PTSD. Stated differently, the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 MMPI subscale for the assessment of combat-related PTSD in Korea. 105 patients were assigned to a PTSD psychiatric group (n=30), a non-PTSD psychiatric group (n=39), and a normal veteran group (n-32). In addition, 36 non-veteran schizophrenic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tandard clinical profiles demonstrated that the PTSD group had no higher subscale than did the non-PTSD psychiatric group. But an MMPI mean profile of PTSD group revealed an 8-7-2 configuration. Furthermore, an MMPI PTSD subscale comprised of 39 items was finally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based on MMPI 13 subscales plus a special PTSD subscale correctly classified 79.71% of the patients in the PTSD group and the non-PTSD psychiatric group.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io, based on PTSD scale only, was 68.12 percent.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TSD subscale and the limita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