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사회의 병적 도박 유병률에 대한 연구: KNODS, KMAGS 및 KSOGS의 추정치 비교

Epidemiological Study of Pathological Gambling in South Korea: A Comparison of the KNODS, KMAGS, and the KSO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5, v.10 no.2, pp.227-242
김교헌 (충남대학교)
권선중 (침례신학대학교)
이흥표 (대구사이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의 병적 도박 시점(1년) 유병률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된 2,867명으로 구성된 이질적 표본을 대상으로 3개의 병적 도박 선별척도(KNODS, KMAGS, KSOGS)를 사용하여 한국 성인들의 병적 도박 유병률을 추정한 결과, 일반 성인 표본(N=908)에서는 KMAGS 1.4%, KNODS 2.6%, KSOGS 4.4%로 나타났다. 도박성 게임 이용자 표본(N=424)의 병적 도박 유병률은 KMAGS 29.0%, KNODS 38.0%로 나타났으며, KNODS로 평가한 인터넷 이용자 표본(N=834)의 유병률은 6.1%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인구분포를 기준으로 유층표집한 전화면접 표본(N=701)에서는 KMAGS 단축형으로 측정한 병적 도박 유병률이 1.3%였다. KSOGS가 허위 긍정으로 인한 유병률 과다추정의 위험성이 있고 DSM-IV의 병적 도박에 대한 진단적 기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고려해서, KNODS와 KMAGS에 기초하여 한국 성인의 병적 도박 유병률을 평가하면, 한국 성인의 병적 도박 유병률은 1.3에서 2.6% 사이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의 전국 조사(NGISC, 1999)의 시점 유병률 0.6%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치인 반면 동일한 동아시아 지역인 홍콩(Wong & So, 2003)의 1.8%와는 유사한 수치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들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current prevalence, pathological gambling, KNODS, KMAGS, KSOGS, current prevalence, pathological gambling, KNODS, KMAGS, KSOGS, 병적 도박, 시점 유병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Korean version of pathological gambling screen measures(KNODS, KMAGS, and KSOGS) were administered to 2,867 South Korea residents using various sampling methods. In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1.4% of the population were identified as pathological gamblers through KMAGS which is the most conservative measure while the KNODS identified 2.6% and the KSOGS identified 4.4% of the population as pathological gamblers in the general sample (N=908). In the gambler sample (N=424), the KMAGS identified 29.0% and the KNODS identified 38.0% of the samples as pathological gamblers. Also KNODS identified 6.1% of the sample as pathological gamblers in the internet sample (N=834). Finally, in the telephone interview sample (N=701), the KMAGS-SF identified 1.3% of the sample as pathological gamblers. When we consider that risk of overestimation of pathological gambler due to a false-positive in KSOGS and KSOGS don't fully reflecting diagnosis criteria of DSM-IV, prevalence from 1.3% to 2.6% seems to be appropriate as estimated of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degree of concordance amongst the measures, consider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al aspects are discussed.

keywords
current prevalence, pathological gambling, KNODS, KMAGS, KSOGS, current prevalence, pathological gambling, KNODS, KMAGS, KSOGS, 병적 도박, 시점 유병률

참고문헌

1.

(2003) 병적 도박 선별을 위한 K-NODS의 신뢰도와 타당도,

2.

(2004) 레저백서2004, 한국레저산업연구소

3.

(1999) 현대인의 사회적 부적응 ,

4.

(1999) 도박의 정치경제학 한국 사회의 도박 합법화와 도박 문제의 확산에 관한 비판적 접근, 한국사회사학회

5.

(2002a) 도박의 심리,

6.

(2002b)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동기 및 위험감수와 병적 도박의 관계,

7.

(2002) 병적 도박 실태조사 및 치료프로그램 연구용역 보고서, 한국마사회/국민체육진흥공단 공동용역

8.

(2001) 한국형 사우스 오크 병적 도박 검사 표준화에 대한 예비 연구,

9.

(198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0.

(1987)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1.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2.

(2004) A Science-Based Framework for Responsible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3.

(1984) Career of the Compulsive Gambler, INC

14.

(1987) A new instru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hologic gambl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

(2003) Gambling and problem gambling in Britain,

16.

Halifax model, (2005) Building on the framework for a global gambling strategy, Schellinck ca/agri_downloads/1482/schellinck

17.

Walker, (1996) The prevalence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8.

Wong, (2003) Prevalence estimates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in Hong Ko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