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남녀관리자에 따른 차이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Comparison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5, v.10 no.3, pp.243-258
정민정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남녀관리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남성 관리자 99명과 여성 관리자 102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5개 직무스트레스원과 세 직무스트레스 변인이 사용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 관리자의 경우 좀 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특히 심리적 소진의 경우 남성 관리자 집단에서는 일-가정 갈등과만 유의하게 관련되었으나 여성 관리자 집단에서는 12개 직무스트레스원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각 집단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직무스트레스원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15개 직무스트레스원들은 여성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모호가 남성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관리자의 경우 역할과다와 정서노동이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직무스트레스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Male managers, Female managers, Job stressor, Job stress, Job burnout, Emotional labor, Male managers, Female managers, Job stressor, Job stress, Job burnout, Emotional labor, 남성 관리자, 여성 관리자,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원, 심리적 소진, 정서노동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lations of job stressors to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99 male managers and 102 female managers in various service organizations. 15 job stressors and 3 job stress variables were measure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mong female managers more various job stressors were correlated with job stress. Particularly job burnout was only significantly cor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for the male group, but was correlated to 12 job stressor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laining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Generally 15 job stressors explained more variances of job stress for the female group. Role ambiguity was most significant job stressor in explaining job stress for the male group. However, for the female group, role overload and emotional labor were most significant job stressors in explaining job stres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eywords
Male managers, Female managers, Job stressor, Job stress, Job burnout, Emotional labor, Male managers, Female managers, Job stressor, Job stress, Job burnout, Emotional labor, 남성 관리자, 여성 관리자,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원, 심리적 소진, 정서노동

참고문헌

1.

(1996) 사무직 여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중재변인 심리적 긴장과의 관계,

2.

(1994)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3.

(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4.

(2000)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종합병원 일반사무직을 대상으로,

5.

(2004) 성별과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원에서의 차이 서비스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6.

(2002) 직종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에서의 차이,

7.

(1999)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원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8.

(2002)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9.

(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원 척도 개발,

10.

(1993) 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사건과 개인차 변인 학생지도연구 성균관 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1.

(1991)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12.

(1992) occupational stressors and social buffer in a police organization Stress and well-being at work,

13.

(1979)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4.

(1992) Stress in organization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

(1978)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

(1979) Work experiences of middle and senior managers:the pressure and satisfaction,

17.

(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8.

(1995) The healthy organization, Routledge

19.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20.

(1975)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job attitud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1.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2.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An exploratory study,

23.

(1985) Sex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work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