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긍정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Positive Thinking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6, v.11 no.4, pp.767-784
김현정 (성균관대학교)
신영철 (성균관대학교)
오강섭 (성균관대학교)
오윤희 (성균관대학교)
정지영 (성균관대학교)
서동우 (보건사회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긍정적 사고는 개인과 삶에 대해 부정적인 면이 있더라도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개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인지적 태도 및 대처방식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 I에서는 척도 개발을 위해 25문항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여, 서울 소재 대학생 145명(남 84명, 여 61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사고 척도 예비문항을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주관적 만족’요인에 해당하는 13문항과 ‘목표 추구’요인에 속하는 5문항으로 구성된 총 18문항의 척도가 구성되었다. 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전체 및 하위 척도가 .72~.88이었고, 4주 간격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가 .74로 신뢰로왔다. 또한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연구 II에서는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군집추출 및 비례할당을 통해 표집한 총 409명의 성인남녀에게 긍정적 사고를 비롯한 일련의 설문내용을 전화 조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 I에서 도출된 2요인 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작한 긍정적 사고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 도구로 평가되었으며, 심리적 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긍정적 사고, 척도 개발, 타당화, positive thinking,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positive thinking,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Positive thinking is defined as cognitive attitude and coping style accepting self and circumstances positively and pursuing personal growth.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Positive Thinking Scale(PTS) for Korean normal population measuring positive thinking. In Study I, 145 college students completed 25 preliminary items and other self-report inventor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2-factor solution- “personal satisfaction”(13 items) and “goal pursuit”(5 items), and the final 18-item scale was constructed. Initial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dicates good internal consistency, stability and encouraging evidence of validity. Study II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PTS using 409 national-wide adult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previous two factor model in Study I is valid. In addition, results revealed acceptable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verall, the results provide Positive Thinking Scale has adequat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has potential utility for positive psychology researcher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긍정적 사고, 척도 개발, 타당화, positive thinking,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positive thinking,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2001) 주도적 대처 척도,

2.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3.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4.

(1994) 우울증상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5.

(1992) 자살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도피 척도의 타당화,

6.

(2002) 성향적 낙관주의와 기분 상태가 만성 동통에 미치는 효과,

7.

(1993)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8.

(1994)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9.

(1998) 긍정적 사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목포대학교 학생샐활연구소

10.

(2002) 긍정적 사고의 평가와 활용: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Positive: ATQ-P)의 표준화 연구,

11.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2.

(1996) The benefits of optimism A meta-analysis review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13.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4.

(1984) Subjective well-being,

15.

(1983)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6.

(1998) Subjective well-being is essential to well-being,

17.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8.

(1979) The rational-emotive approach to counseling In Theories of Counseling, McGraw-Hill Inc

19.

(1995) Quality of life:Its definition and measurement,

20.

(1997)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and coping with severe stress,

21.

(1928) The future of an illusion, Hogarth

22.

(1985) Some psychological effects associat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thinking about stressful events outcomes was pollyanna ri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3.

(1999) The proactive coping inventory (PCI) A theory-guided multidimensional instrument,

24.

(1988) Assessment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

25.

(1994) The role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s in depression and happi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6.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27.

(1956)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28.

(2000) The future of optimism,

29.

(1989)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

(1985)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31.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32.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3.

(2002) Tenacious goal pursuits and striving toward personal growth: Proactive coping, Oxford University Press

34.

(2000) Positive Psychology:An introduction,

35.

(1989)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1988193-210)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37.

(2005)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Turkish-Canadian sample,

38.

(1995) Livability of the welfare-state,

39.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

(1989) Optimistic biasis about personal risks,

41.

(197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42.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43.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Positive Thinking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