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월경전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호흡마음챙김 명상 집단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가자는 월경전 평가지에서 증상이 있다고 나타난 여대생 18명이었고 이들을 각각 치료 집단에 9명, 통제 집단에 9명씩 배치하였다. 그러나 치료 집단의 참가자 중 1명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탈락하여 5주간 10회기의 호흡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완료한 사람은 총 8명이었고, 사전 및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한 사람은 총 17명이었다. 호흡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 결과 치료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월경전 평가지의 총점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월경전 평가지를 구성하는 월경전기증상들은 크게 정서 및 인지적 변화 요인과 신체적 변화 요인으로 구분되는데 두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치료집단은 정서 및 인지적 변화 요인을 구성하는 13개 유형 중 9 유형(행복감 증가)과 신체적 변화 요인을 구성하는 5개 유형 중 14 유형(자율신경과 관련된 신체적 변화), 18 유형(기타 신체적 변화)을 제외한 모든 점수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마음챙김 명상 집단 치료가 월경전 증후군을 경험하는 여대생들의 월경전기증상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breathing mindfulness medita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llege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PMS). Eighteen college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were divided into either a breathing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n=9) or a control group (n=9). A participant in the treatment condition could not complete the breathing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Pre and Post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Premenstrual Assessment Form(PAF). PAF was used for measuring the severity of P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reathing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showed more reduction of symptoms in total score, 2 subs-factors and 15 subs-scales of PAF.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scale 9, scale 14 and scale 18 in 18 subs-scales of PAF.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thing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llege women with premenstrual symptom.
강현정, (1998) 인지행동치료와 이완훈련이 월경전 증후군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고선규, (2004)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 인지행동치료
김덕연, (1992)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가정의학회지
김미리혜, (2007) 월경전증후군의 이해와 치료: 인지행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김미리혜, (2003)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심리건강에 미친 효과, 학생생활연구
김수진, (2003) 마음챙김 명상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정호, (1994) 인지과학과 명상, 인지과학 4&5
김정호, (1995) 마음챙김 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김정호, (1996)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김정호, (2004a)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김정호, (2004)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김정호, (2006) 마음챙김명상의 교육을 위한 제언, 스트레스 硏究
김정호, (2003)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미친 효과:예비적 연구, 인지행동치료
김정호, (2002)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을 위한 호흡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김정호, (2002) 마음챙김 명상을 통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김지웅 ; 이정현 ; 김덕만 ; 이만홍, (2002) 인지적 양식 및 스트레스 지각과 월경전기 증상과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김정호 ; 김미리혜 ; 이지선,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장현갑, (1996)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 명상의 유형과 정신생리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조현진, (2004) 마음챙김 명상이 흡연중학생의 금연과 심리적 특성에 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김미리혜 ; 김정호 ; 한진숙,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Anson,O., (1999) Exploring the bio-psycho-social approach to premenstrual experi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Beck, L. E., (1997) The predictive role of psychosocial stress on symptom severity in premenstrual syndrome, Psychosomatic Medicine
Benson, H., (1975) The relaxation response: psychophysiologic aspects and clinical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Medicine
Bishop, (2004)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sychosomatic Medicine
Blake,F., (1995) Cognitive therapy premenstrual syndrome, Cognitive Behavioral Practice
Blake, F., (1998) Cognitive therapy for premenstrual syndrome: a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Brown, M. A., (1993) Cycle-phase change in perceived stress in women with varying levels of premenstrual symptomatolog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Clare,A.W., (1979) The treatment of premenstrual symptom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Day, P. O., (2004) Using mindfulness-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part Ⅰ: description and empirical support for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Frank,R., (1931) The hormonal cause of premenstrual tension, Arch Neurol Psychiatry
Goodale, I. L., (1990) Allev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with the relaxation response, Obstetric Gynecology
Green, R., (1953) The premenstrual syndrome, British journal of Medicine
Halbreich, U., (1985) Relationship of dysphoric premenstrual change to depressive disorder, Acta Psychiatric Scandinavia
Halbreich, U., (1983) The diversity of premenstrual assesment form, Acta Psychiatric Scandinavia
Hamilton,S.W., (1984) The premenstrual syndrome, British Journal of Medicine
Indusekhar, R., (2007)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Kabat-Zinn,J., (2005) 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학지사
Kramer,G., (1998) Mediating together, speaking from silence: The practice of insight dialogue, Metta Foundation
Mohan, V., (1987) Personality variations as an effect of premenstrual tens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Needleman,L.D., (1999) Cognitive case conceptualization: a guidebook for practitioners, Lawrence Erlbaum
Rapkin, A. J., (1987) Whole-blood serotonin the premenstrual syndrome, Obstetrics & Gynecology
Schnurr,P.P., (1988) Some correlates of prospectively defined premenstrual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Ussher,J.M., (2002) Processes of appraisal and coping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Journal of Community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Walsh, R., (2006) The meeting of meditative disciplines and wester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Wyatt, K. M., (1999) Efficacy of vitamin B-6 in the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systematic review, BM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