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용서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ocesses of Forgiven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8, v.13 no.1, pp.237-252
https://doi.org/10.17315/kjhp.2008.13.1.013
이경순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Glaser와 Strauss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건강한 성인들의 용서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을 생성하는 것이다. 근거자료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건강한 남녀 10명의 참여자로부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와의 개방적이고 심층적인 면담 내용을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그대로 필사하여 근거이론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참여자 1인에게 분석 내용을 확인시켰으며, 질적 연구 전문가 1인과 국문학자 1인이 함께 분석 내용과 용어 사용을 논의하였다. 근거자료 분석에 따르면 용서 과정은 ‘가해로 입은 상처’, ‘증오’, ‘고투’, ‘부정적 정서 표현’, ‘사건 재정의’, ‘자유 느낌’, ‘감사하는 삶 살아가기’로 나타났으며, 이들 범주 중에서 ‘증오’가 중심현상으로 나타났다. 결국 용서란 증오를 해결해가는 경험이며, ‘자신의 삶에서 가치와 의미 발견하기’를 핵심범주로 명명하였다. 인간을 전인적으로 이해하며 용서를 긍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대인간의 갈등해결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는 방법으로 용서가 활용되기를 바란다.

keywords
용서 과정, 질적 연구, 근거이론, process of forgivenes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grounded substantive theory of the process of forgiveness in healthy adult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Glaser and Straus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Ground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10 participant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Open-end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s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experts and a participant validation. According to the grounded data analysis, the process of forgiveness is inflicted hurt, hatred, struggle,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redefining the event, feel freedom, getting to live gratefully. It was named the whole process as the process of finding values and meaning in one's own life.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forgiveness clearly as a positive concept, and promote understanding relating to wholistic person. And also forgiveness is useful to find values and meaning in one's own life. Comprehensive study will be needed using the topic of forgiveness through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 and ages.

keywords
용서 과정, 질적 연구, 근거이론, process of forgivenes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참고문헌

1.

김광수, (1999) 용서 프로그램 개발,

2.

김광수, (2002) 용서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상처경험자의 자존감, 불안, 분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3.

김선미, (2005) 용서와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

4.

김현정, (1997) 암환자의 화학요법 부작용에 대한 자가간호 행위 연구,

5.

박동원, (2004) 용서를 통한 상한 마음의 치유,

6.

박종효, (2003)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7) 연세한국어사전, 연세대학교두산동아

8.

오영희, (1995) 용서를 통한 한의 치유, 한국심리학회지

9.

윤수정, (2004) 용서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진행성 여성암 환자의 용서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10.

이경순, (1998) 용서 개념 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1.

이경순, (2002) 용서-현상학적 접근, 정신간호학회

12.

이상구, (1994) 뉴스타트 이야기(6) 건강은 마음에서 시작합니다, 가정과 건강

13.

Arnold, J.C., (1999) The Lost Art of Forgiving: Stories of healing from the cancer of bitterness, Plough Publishing House

14.

Brush, B. L., (2001) Forgivenes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15.

Carson, V. B., (1996) Mental health nursing, W. B. Saunders Company

16.

Enright,R.D., (2001) Forgiveness is a choi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

Enright, R. D., (2000) Helping clients forg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Mickley, J. R., (2001) Ameliorating the tension:?Use of forgiveness for healing, Oncology Nursing Forum

19.

Park,J.H., (2003)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a Forgiveness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Female Aggressive Victims in Korea,

20.

Pennebaker,J.W., (1999) Opening up: The healing power of expressing emotions, The Guilford Press

21.

Richards, L., (2007) 초보자를 위한 길잡이 질적 연구방법(제2판), 현문사

22.

Shin,I.H., (2205)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maturity and forginess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Master's thesis, Torch Trinit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23.

Smedes,L.B., (1984) Forgive and forget: Healing the hurts we don't deserve, Haprte & Row

24.

Strauss. A.,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25.

Swindoll,C.R., (2004) Great attitudes!: 10 choices for success in life, J. Countryma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