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심리운동 기법을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8, v.13 no.3, pp.745-756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1
김희수 (한세대학교)
이민규 (경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심리운동 기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내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총 19명으로 실험 집단 10명, 통제 집단 9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주 1회 2시간(120분)씩 6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측정 도구로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 사회적 기술 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학생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처지 전후 평균의 차이검증으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대처 사후검사 점수의 분석에 있어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운동 기법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공변량분석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사회적 기술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운동 기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Social Skills, Stress Coping,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Social Skills, Stress Coping, 심리운동 기법, 스트레스 대처 능력, 사회적 기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assump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ability. For this study,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 19 students in total, were organized and the treatment was conducted a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10 college students, attended group counseling based on Psychomotology.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9 college students, had a class. The treatment lasted for an six-week period. In each week, a two-hour-long session was conducted. For the data processing, The analysis of t-test and ANCOVA was used. Two groups turned out to be all homogeneous by t-test pretesting.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was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e test wa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These results imply that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enhances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ability.

keywords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Social Skills, Stress Coping,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Social Skills, Stress Coping, 심리운동 기법, 스트레스 대처 능력, 사회적 기술

참고문헌

1.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2.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인지 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3.

김형일, (1995) 대인문제해결훈련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4.

미국정신의학회, (199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DSM-Ⅳ], 하나의학사

5.

박애선, (1992) 기혼 여성의 성역할 특성과 스트레스 지각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상담과 심리치료

6.

박은규, (2000) 무용요법이 지체 장애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7.

윤여숙, (1997) Dance Movement Therapy가 노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8.

이규식, (2001) 인간과 건강, 한세대학교 출판부

9.

이용희, (2002) 사회기술훈련이 생활시설 정신지체인의 대인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10.

이학주 ; 이하나 ; 정현주 ; 이기학,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11.

조옥경, (2006) 한국요가지도자의 현황과 과제. 한국요가학회 창립대회 발표논문, 원광대학교

12.

Bernstein,P.L., (1984) Theoretical Approaches in Dance-Movement Therapy.2, Kendal Hunt

13.

Carver,S., (2005) 성격심리학 [Perspectives on Personality], 학지사

14.

Elliott,S.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15.

Erikson,E.H., (1963) Child and Society, Norton

16.

Fay,C.G., (1977) Movement and fantasy: A dance therapy model based on the psychology of C. G. Jung Master's Thesis, Goddard

17.

Folkman,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8.

Glasser,W, (1991) 당신의 삶은 누가 통제하는가? [Control Theory], 한국심리상담 연구소

19.

Herm,S., (1993) Psychomotorische Spiele fu?r Kleinstkinder in Krippen, Berlin

20.

Hock,R., (2001) 심리학을 변화시킨 40가지 연구[Forty Studies That Changed Psychology], 학지사

21.

Holmes,T.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matic Research

22.

Jung, C. G., (1912) On psychic energy. Collected works, 8, Princeton University

23.

Jung,C.G., (1961) Memories,dreams,reflections, Random House,Vintage Books

24.

Kazdin,A.E., (1991) Treatment research: The intervention and evaluation of psychotherapy in : The clinical psychology handbook (2nd ed), Pergamon

25.

Kiphard,E.J., (1989) Psychomotorik in Praxis und Theorie, Gutesloh

26.

Libert,J.M., (1973) Concept of social skill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behavior of depressed pers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7.

Lu,I., (1997) Social Support, reciprocity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8.

Ryan,R M., (2002)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in hedonic젨 and eudae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9.

Schilling,F., (1981) Grunlagen der Motopa?dagogik in : Fo?rderung entwicklungsgefa?hrdeter und behinder Heranwachsender, Erlangen

30.

Smith,L.W., (1999) 몸과 마음의 관계 [Of Mind and Body], 김영사

31.

Stanton,J.K., (1992) Temples of Prisons?, Times Higher Education Supplement

32.

Sweetman,M.E., (1993) Optimism, hardiness, and explanatory style as predictors of general well-being among attorney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3.

Watson, D.,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on anxiety,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34.

Zimmer,R., (2005) 심리운동 이해,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35.

Zimmer, R., (1995) Psychomotorik, Schorndorf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