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운전분노척도에 의한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

A Prediction of Overspeed Driving on the Road with Driving Anger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9, v.14 no.1, pp.159-173
https://doi.org/10.17315/kjhp.2009.14.1.010
신용균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한덕웅 (성균관대학교)
류준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연구들에서 운전분노가 교통사고 및 교통법규 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학적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운전분노를 적절하게 측정할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가 없으며 운전분노가 운전행동이나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낸 연구도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운전분노를 측정하기 위하여 Deffenbacher와 동료들(1994)이 개발한 운전분노척도(Driving Anger Scale)를 참고하였다. 이 척도에 국내의 도로교통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항들을 보완하여 한국판 운전분노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사용하여 운전분노와 과속운전 행동의 관계를 알아내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세 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성인 운전자 1,125명을 대상으로 운전분노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일치도 분석 등을 통하여 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 운전자 410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한 한국판 운전분노척도의 6요인 구조모형에 대한 교차타당화를 수행하였다. 운전분노척도의 6개 하위요인들의 측정치들을 예언변인으로 사용하여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에 기여하는 수준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의 결과 6요인 구조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는 만족스러웠으며 운전분노척도의 6개 하위척도들 가운데 ‘다른 운전자의 무례한 운전행동’ 과 ‘경찰출현 상황’ 척도를 제외하고 4개 하위척도들이 과속운전 행동을 잘 예측하였다. 연구 3에서는 또 다른 476명의 성인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과속운전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안된 과속운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력 지각의 사회인지 요인들을 넘어서 추가로 운전분노의 정서요인이 유의하게 기여함을 알아내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연구를 위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운전분노, 과속운전, 교통법규 위반, 계획된 행동이론, Driving anger, Overspeed driving, Traffic code viola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bstract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driving anger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determinant of traffic accidents and violations in a variety of driving sett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driving anger scal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anger and overspeed driving in Korea. Based on the Driving Anger Scale (DAS) proposed by Deffenbacher and colleagues (1994), a Korean version of Driving Anger Scale (K-DAS)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traffic and road conditions in Korea. In Study 1,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data from 1,125 adult Korean drivers revealed a 6 factor structure of driving anger scale. In study 2, which employed 410 adult Korean drivers, the 6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cross-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predictive utility was examined. The Result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satisfactory fitness of 6 factor model. Moreov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ix factors of the K-DAS well predicted overspeed driving in Korea. In study 3, which employed 476 adult Korean drivers,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dition of driving anger led to the significant increment in explaining overspeed driving in amount of explained variance in attitude toward overspeed driving,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운전분노, 과속운전, 교통법규 위반, 계획된 행동이론, Driving anger, Overspeed driving, Traffic code viola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참고문헌

1.

도로교통공단 (2008). 교통사고 통계분석.

2.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7).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3.

신용균, 한덕웅 (인쇄중). 과속운전에서 행동통제력지각, 시간압박감 및 실행의도가 과속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

4.

신용균, 한덕웅, 류준범 (2005). 운전분노척도에 의한 도로교통 위반행동의 예측. 2005 한국건강심리학회 제 2차 학술대회논문집, 84-95.

5.

신용균, 한덕웅, 이민규, 박군석 (1998). 운전행동 및 성격검사 개발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18, 29-54.

6.

통계청 (2008).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통계결과.

7.

한덕웅, 전겸구, 이장호, Spielberger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8.

한덕웅, 한인순 (2001). 과속운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39-62.

9.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h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p. 11-39). NY: Springer-Verlag.

10.

Deffenbacher, J. L., Deffenbacher, D. M., Lynch, R. S., & Richards, T. L. (2003). Anger, aggression, and risky behavior: A comparison of high and low anger driv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1, 701-718.

11.

Deffenbacher, J. L., Huff, M. E., Lynch, R. S., Oetting, E. R., & Salvatore, N. F. (2000).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high-anger drive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5-17.

12.

Deffenbacher, J. L., Lynch, R. S., Filetti, L. B., Dahlen, E. R., & Oetting, E. R. (2003). Anger, aggression, risky behavior, and crash-related outcomes in three groups of driv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1, 333-349.

13.

Deffenbacher, J. L., Lynch, R. S., Oetting, E. R., & Yingling, D. A. (2001). Driving anger: Correlates and a test of state-trait theo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 1321-1331.

14.

Deffenbacher, J. L., Oetting, E. R., & Lynch, R. S. (1994). Development of a driving anger scale. Psychological Reports, 74, 83-91.

15.

Deffenbacher, J. L., Oetting, E. R., & Lynch, R. S., & Swaim, R. C. (2002). The driving anger expression inventory: A measure of how people express their anger on the road.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0(6), 717-737.

16.

Frank, R. G., Bouman, D. E., Cain, K., & Watts, C. (1992). Primary prevention of catastrophic injury. American Psychologist, 47, 1045-1049.

1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NY: Wiley.

18.

Lajunen, T., Parker, D., & Stradling, S. G. (1998). Dimensions of driver anger, aggressive and highway code violations and their mediation by safety orientation in UK driv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1, 107-121.

19.

Long, J. S. (198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0.

Spielberger, C. D. (1988).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Research ed.), T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1.

Underwood, G., Chapman, P., Wright, S., & Crundall, D. (1999). Anger while driv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2, 55-6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