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al anxiety with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and sociocultural variables. 56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such as Tajin Kyofusho Scale(TKS),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 Che-myeon Scale, Nun-chi Scale, Self-Construal Scale(SC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K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variables, and SAD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variables except bo-neon nun-chi.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che-myeon, ju-neon nun-chi,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redicted the variance of TKS. On the contrary, Che-myeon,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predicted the variance of SAD.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e-myeon and nun-chi, esp. nun-chi may be an important sociocultural factor to influencing social anxiety with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강길호 (1994).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손전략. 한국언론학보, 30, 11-35.
김경호 (2002). 자아존중감, 체면민감성과 자기제시 전략간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보경 (2003).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관과 사회불안.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정, 조용래 (2008). 가해염려를 동반한 사회공포증과 분노관련 변인들 및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613-632.
류연지 (1996). 성격 및 욕구 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성영신 (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 69-82.
오강섭, 허묘연, 이시형 (1999).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38(1), 64-75.
이경진 (2000). 애착유형에 따른 눈치민감성의 차이.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부영, 차재호, 황필호 (1984). 한국인의 성격. 서울: 고려원.
이시형, 백상빈, 노경선, 오강섭, 신영철 (1999). 사회공포증 환자의 성격요인과 방어기제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8(6), 1254-1261.
이시형, 오강섭, 이성희 (1991). 사회공포증의 임상고찰(4) -가해의식을 동반한 아형. 신경정신의학, 30(6), 1004-1013.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2.
이정윤, 최정훈 (1997).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51-264.
조선영,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재신, 최일호 (2005). 한국과 일본에서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공적자기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49-60.
조용래, 김은정 (2005). 가해염려를 동반한 사회공포증: 한국판 TKS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397-411.
진승범 (1995). 체면과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185-202.
최상진, 유승엽 (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6(2), 137-157.
최상진, 최연희 (1989). 눈치의 사회심리학적 구조: 눈치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시안.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12-221.
최연희 (1990). 눈치기제가 유발되는 상황과 이유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Chang, S. C. (1997). Social anxiety (phobia) and east asian culture. Depression and Anxiety, 5, 115–120.
Choy, Y., Schneier, F. R., Heimberg, R. G., Oh, K., & Liebowitz, M. R. (2008). Features of the offensive subtype of Taijin-Kyofu-Sho in US and Korean patients with DSM-Ⅳ social anxiety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25, 230–240.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nnel, D. L., Kleinknecht, R. A., & Tanaka-Matsumi, J. (2002).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ocial phobia symptom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4. 75-84.
Iwase, M., Nakao, K., Takaishi. J., Yorifuji. K., Ikezawa, K., & Takeda, M. (2000). An empirical classification of social anxiety: Performance, interpersonal and offensiv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4, 67-75.
Kleinknecht, R. A., Dinnel, D. L., Kleinknecht, E. E.. Hiruma, N., & Harada, N. (1997). Cultural factors in social anxiety: A comparison of social phobia symptoms and Taijin Kyofusho.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1(2), 157-177.
Kleinknecht, R. A., Dinnel, D. L., Tanouye-Wilson, S., & Lonner, W. J. (1994). Cultural variation in social anxiety and phobia: A study of Taijin Kyofusho. The Behavior Therapist, 17, 175-178.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80-591.
Watson, D., & Friend, R.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448-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