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5요인 마음챙김, 의미부여 및 자율적 행동조절이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모형: 일상재구성법으로 알아본 주부의 일상 경험에 대한 분석

Interrelational Modeling of the Effects of Five Facet Mindfulness, Meaning making and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on Emotional Well-being: The Analysis of Married Women's Daily Life Experience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1, pp.107-122
https://doi.org/10.17315/kjhp.2010.15.1.007
원두리 (충북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5요인 마음챙김(Baer, Smith, Hopkins, Krietemeyer & Toney, 2006), 의미부여 및자율적 행동조절이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모형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주부 252명을 대상으로 일상재구성법(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Kahneman, Krueger,Schkada, Schwarz, & Stone, 2004)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5요인 마음챙김이 일상재구성법으로 측정한 의미부여를 촉진하고 의미부여는 자율적 행동을 통해 정적정서를 촉진하고 부적정서에 부적 영향을 준다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마음챙김 5요인 중 관찰과 자각행위는 의미부여와 자율적 행동조절을 통해 정서적 웰빙에 영향을 주고, 마음챙김 5요인 중 기술과 비자동성은 직접 정서적 웰빙에 영향을 주어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수용되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정서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의미부여와 자율적 행동조절의 매개를 통해 좀 더 구체화하였고, 일상의 구체적 사건에 대한 경험에 기초한 자료를 다루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제한점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five facet mindfulness, meaning making,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emotional well-being, DRM, 5요인 마음챙김, 의미부여, 자율적 행동조절, 정서적 웰빙, 일상재구성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interrelational model of the effects of five facet mindfulness(Baer, Smith, Hopkins, Krietemeyer & Toney, 2006), meaning making, and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s on emotional well-being. A survey based on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Kahneman, Krueger, Schkada, Schwarz, & Stone, 2004) for 252married women was performed. For the data analysis, a hypothetical model was devised that five facet mindfulness facilitates meaning making, the meaning making facilitates positive emotion and mitigates negative emotion through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Finally, the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t is found that the observing and the acting with awareness, among the five facet mindfulness, facilitate an emotional well-being through the meaning mak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describing and the nonreactivity are found to directly affect the emotional well-being. In this study, the process that the mindfulness affects the emotional well-being is specified b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eaning mak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It is also notable that survey data were based on the daily experiences of the specific life ev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five facet mindfulness, meaning making,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emotional well-being, DRM, 5요인 마음챙김, 의미부여, 자율적 행동조절, 정서적 웰빙, 일상재구성법

참고문헌

1.

권경희 (1985). 한국도시주부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 (1999). 한국 기혼여성(아줌마)들의 성격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3.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4.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9.

5.

배병렬 (2005).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도서출판 청람.

6.

서은국, 성민선 (2006).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살펴본 대인관계별 정서경험의 형태.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4-75. 8월 18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7.

신은향 (1998).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자기결정적 동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유경 (2006). 남녀 직장인들의 일상적 정서경험.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6-77. 8월 18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9.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10.

원두리, 김교헌 (2006).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71-886.

11.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12.

이평숙 (1985).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장병옥 (1985). 도시주부의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적응 방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장현갑, 배재홍 (2006).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MBSR-K)이 정신신체증후(SCL 90-R)에 미치는 효과. 2006년 한국건강심리학회 제 1차 학술발표대회 및 워크샵 자료집, pp. 47-50. 3월 31일. 충남대학교 산학연.

15.

Arbuc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Chicago: SmallWaters Corporation.

16.

Baer, R. A. (2003).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0, 125-143.

17.

Baer, R. A., Smith, G. T., & Allen, K. B. (2004).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11(3), 191-206.

18.

Baer, R. A., Smith, G. T., Hopkins, J., Krietemeyer, J., & Toney, L. (2006).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13(1), 27-45.

19.

Bauer, J. J., McAdams, D. P., & Sakaeda, A. R. (2005). Interpreting the good life: Growth memories in the lives of mature, 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 203-217.

20.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J.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1(3), 230-241.

21.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22.

Brown, K. W., & Ryan, R. M. (2004). Fostering healthy self-regulation from within and without: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n P. A. Linley & S. Joseph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pp. 105-124). NJ: Wiley.

23.

Carver, C. S., & Scheier, M. F. (2000). Autonomy and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Inquiry, 11, 284-291.

24.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25.

Deci, E. L., Eghrari, H., Patrick, B. C., & Leone, D. R. (1994). Facilitating internalizati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62(1), 119-142.

26.

Hayes, A. M., & Feldman, G. (2004). Clarifying the construct of mindfulness in the context of emotion regul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rapy.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1(3), 255-262.

27.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과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28.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a, D. A., Schwarz, N., & Stone, A. A.(2004). A survey method for characterizing daily life experience: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Science, 306, 1776-1780.

29.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science of mental health.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59). NY: Oxford University Press.

30.

King, L. A., & Pennebaker, J. W. (1998). What's so great about feeling good. Psychological Inquiry, 9(1), 53-56.

31.

King, L. A., Hicks, J. A., Krull, J. L., & Del Gaiso. A. K. (2006).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1), 179-196.

32.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33.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34.

Ryff, C. D., & Singer, B. H.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5, 14-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