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 효과

The Effects of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Game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1, pp.143-159
https://doi.org/10.17315/kjhp.2010.15.1.009
강희양 (전주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osed verification of effects from self-esteem enfor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fluencing on adolescents' game addiction. Three groups with 21students respectively were chosen for game 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conducted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given to the second comparison group and nothing was done to the third control group. Scales used for game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game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while scales used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internet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The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game ad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 second conclusion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net addic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refore,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ll be an effective means in decreasing adolescent' game addiction and in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eywords
internet addiction, game addiction,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인터넷 중독, 게임중독, 자존감 향상 인지행동 치료

참고문헌

1.

강희양, 손정락 (2007). 인터넷 및 게임중독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12(4), 733-745.

2.

고수연 (2002).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윤희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측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선주 (2004). 인지행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신체상 만족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영선 (2003). 자기성장 집단 상담이 대학생의 자기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현숙 (2001).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연구.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배병렬 (2004). 구조방정식 모형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서울: 청목출판사.

8.

송수진 (2003). 알코올 중독 입원 환자에 대한 변화 동기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송원용 (1999). 자기효능감과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신현진 (2005). 내외향성 블로그 사용 및 블로그에서의 자기개방간의 관계.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윤광숙 (2004). 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경님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13.

이해경 (2002).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 한국 심리학회지, 14(4), 55-79.

14.

이현아 (2004). 인터넷 중독 방지를 위한 시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한 가정학회지, 42(10), 63-77.

15.

이형초 (2001). 인터넷 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 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17.

전병제 (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 107-130.

18.

정명희 (2006). 동기강화 인지행동 치료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조영란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예측 모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천성문 외(2004). 중학생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21.

한국청소년 개발원 (2005). 청소년 정보화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 개발원.

22.

한덕웅 (1994). 퇴계심리학: 성격 및 사회심리학적 접근.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3.

허미리 (2003).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적응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안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Anderson, K. J. (1999).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http://www. jpi. edu/~andek4/research.html.

25.

Burnett, P. C. (1995). Cognitive behaviour therapy Vs rational-emotive education: Impact on children's self-talk,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Australian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5, 59-66

26.

Burnett, P. C., Craven, R., & Marsh, H. (1999). Enhancing students' self-concepts and related constructs: A critical longitudinal analysis capitalising on and combining promising enhancement techniques for educational settings. A paper published by the Australi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Education. http://www.aare.edu.au/99pap/bur99425.htm

27.

Griffiths, M.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Some comments in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by Young. Psychological Reports, pp 81-82.

28.

Kaplan, C. A., Thomson, E. A., & Searson, S. M. (1995). Cognitive behaviour therapy in children and adolscent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73, 472-475.

29.

Patterson, C. H. and Watkins, C. E.(1996). Theories or Psychotherapy(5th edn), New York: HarperCollins.

30.

Pennebaker, J. W. (1989). Confession, inhibition, and diseas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211-244.

31.

Project MATCH Research Group (1998). Therapist effects in three treatments for alcohol problems. Psychotherapy Research 8, 455-474.

3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sers, R. W. (1982). The Self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34.

Simpson, H. B. (2006).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lus motivational interviewing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2006.10.30. http://www. Clinical Trials. gav/ct/show/NCT 00316316에서 인출.

35.

Sylvian, C., Ladouceur, R., & Bosivert, J. (1977). Cognitive and behavior treatment of pathological gambling: A controlled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5), 727-732.

36.

Treasure, J. L., Katzman, M., Schmidt, U., Troop, N., Todd, G., & de Silva, P. (1999). Engagement and outcome in the treatment of bulimia nervosa: First phase of a sequential design comparing motivation enhancement therapy and cognitive beaviral therap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7, 405-418.

37.

Young, K. S. (1996b). "Psychology of computer use: Ⅺ.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 899-90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