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성취동기, 내재적 직업가치, 그리고 진로장벽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직업가치의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수준 및 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 수준에 따라서도 진로성숙도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 성취동기,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 장벽 중에서 진로성숙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은 맥락변인인 진로장벽으로 나타났다. 한편진로준비행동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은 성취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e and work value, career barrie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600 students from 5 different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ubjects’ career attitude maturity level between the following upper and lower level groups: achievement motive, work value and career barrier. Further,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participants of upper and lower achievement motive group.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 the career barrier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achievement motive. The discussion address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clinical practice.
권용호(2002). 실업계 고교생의 심리적 독립 및 학업성취도에 따른 진로 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남진(2003).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재활과학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남홍(2001).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영(1998). 성 역할 정체감 및 성취동기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은영(2001). 한국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혜(2006). 고등학생의 성 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성취동기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서강대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숙, 이종희(2003).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학 장벽. 상담학연구, 4(4), 773-788.
김진숙, 이종희(2005).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서울: 한국 학술정보.
박용헌(1982). 성취동기 육성의 교수방안, 서울: 교육출판사.
손은영(2001a).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은영(2002a).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개인ㆍ심리적 변인의 관계. 상담 및 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손은영(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인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은영(2003). 대학생의 생물학적성과 성 역할 정체감의 일치여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7-136.
이병인(1991). 가정환경, 성 역할 정체감, 성취동기와 직업포부수준과의 관계.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승연(2007). 청소년 자살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지식과 오해.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3(2), 97-117
이재창, 유계식(1996). 성취동기, 성 역할 정체감, 진로결정 유형간의 관련분석과 이 변인이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홍익대학교), 13, 114-145.
윤운성(1987). 창의성 및 지가향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충남대학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주영(2000). 진로결정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기명(1998).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ㆍ진로결정수준ㆍ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1991).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홍근 외(2006).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전경숙, 정태연(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5(1), 133-153.
조지혜(2007).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2005a).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상담학연구, 6(4), 88-92.
황매향, 이아라, 박은혜(2005b).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잠재평균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6(2), 125-159.
Atkinson, J. W., Britch, D.(1978). Introduction to motivation, New York: Von Nostrand Co.
Critis, J. O.(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Ginsberg, E.(1951). Occupational Choice: A Approach to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McClelland, D. C.(1965). Toward a theory of motive acquisition, American Psychologist,29, 5.
Murray, H. A.(1938). Exploration in Personal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wanson, H. L., & Daniels, K. K.(1995). The relation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to self esteem, self-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Unpublished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