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일상에서의 의미경험, 자율적 행동조절 및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의미경험과 자율적 행동조절의 매개효과에 관한 관계모형검증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xperience of Meaning,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Well-being in Daily life of Adolescents: Interrelational modeling of the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ce of Meaning and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2, pp.295-30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8
원두리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이 일상 활동에서 경험하는 의미, 자율적 행동조절 및 정서적웰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 고등학교 학생258명을 대상으로 일상재구성법(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Kahneman, Krueger, Schkada,Schwarz, & Stone, 2004)을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를높게 지각한 청소년들은 일상에서의 의미경험 또한 높은 경향이 있었고 일상이 의미 있다고 지각할수록 기꺼이 하고 싶어서 자율적으로 행동했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런 청소년들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경험이 낮았다. 즉,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일상에서의 의미경험과 자율적 행동조절을 매개로 정적정서와 부적정서로 이루어진 정서적 웰빙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청소년의 정서적 웰빙에 기여하는 몇몇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적지지, 의미경험, 자율적 행동조절, 정서적 웰빙, 일상재구성법, social support, experience of meaning,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emotional well-being, DR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xperience of meaning,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well-being, using transformed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DRM; Kahneman, Krueger, Schkada, Schwarz, & Stone, 2004)for the analysis of the adolescents' specific daily life experiences. It is found that social support affects the emotional well-being in daily life of adolesc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In this study, the process that social support affects the emotional well-being is specified b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사회적지지, 의미경험, 자율적 행동조절, 정서적 웰빙, 일상재구성법, social support, experience of meaning,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emotional well-being, DRM

참고문헌

1.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웰빙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2.

김청송 (2009).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649-665.

3.

김택호, 김재환 (2004).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65-490.

4.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 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5.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서은국, 성민선 (2006). 일상재구성법(DRM)으로 살펴본 대인관계별 정서경험의 형태.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4-75. 8월 18 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7.

신은향 (1998).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자기결정적 동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8.

유경 (2006). 남녀 직장인들의 일상적 정서경험. 2006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76-77. 8월 18일.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동.

9.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10(2), 211-225.

10.

이민희, 정태연 (2008).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경로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77-99.

11.

이지연 (2006). 사회적 지원이 개인 안녕과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1), 55-75.

12.

장재윤, 유경, 서은국, 최인철 (2007). 일상재구성법 (DRM)을 통해 살펴본 남녀직장인과 주부의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123-139.

13.

전경숙, 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33-153.

1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15.

Arbuc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Chicago: SmallWaters Corporation.

16.

Brown, K. W., & Ryan, R. M. (2004). Fostering healthy self-regulation from within and without: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n P. A. Linley & S. Joseph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pp.105-124). NJ: Wiley.

17.

Campton, W. C. (2007). 긍정 심리학 입문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 서울: 박학사. (원전은 2005에 출판).

18.

Debats, D. L., Drost, J., & Hansen, P. (1995).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 359-374.

19.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20.

Deci, E. L., Eghrari, H., Patrick, B. C., & Leone, D. R. (1994). Facilitating internalizati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62(1), 119-142.

21.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a, D. A., Schwarz, N., & Stone, A. A.(2004). A survey method for characterizing daily life experience: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Science, 306, 1776-1780.

22.

Keyes, C. L. M., & Magyar-Moe, J. L. (2003). The measurement and utility of adult subjective well being. In S. J. Lopez & C. R. Snyder (Eds.),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pp.411-42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3.

King, L. A., Hicks, J. A., Krull, J. L., & Del Gaiso. A. K. (2006).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1),179-196.

24.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J., & Ryan, R. M. (2000). Daily well-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4), 419-435.

25.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26.

Ryff, C. D. & Singer, B. H. (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1), 1-28.

27.

Ryff, C. D. & Singer, B. H. (2000). Interpersonal flourishing: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ium.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review, 4(1), 30-44.

28.

Sheldon, K. M., & Elliot, A. J. (1999). Goal striving, need 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The self-concordance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6, 482-497.

29.

Shogren, K. A., Lopez, S. J., Weihmeyer, M. L., Little, T. D. & Pressgrove, C. L. (2006).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y constructs in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 without cognitive disabilities: An expoloratory study.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1), 37–52

30.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56-75.

31.

Zika, S., & Chamberlain, K. (1992). On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3, 133-14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