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식사장애 검사-자기보고형(KEDE-Q): 신뢰도 및 요인구조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2, pp.345-355
임수진 (나눔클리닉)
이영호 (나눔클리닉)
허시영 (나눔클리닉)
이민규 (경상대학교 심리학과)
최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김민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김율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식사장애 검사-자기보고형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루어졌다. 식사장애 환자들과 연령, 성별, 교육상태 등이 유사한 집단인 여대생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DE의 자기보고식 검사인 EDE-Q를 실제 식사장애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번안한 KEDE-Q를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특정 개인이 받은 KEDE-Q 점수를 T점수화하여 규준표를 작성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는 체중과 체형에 대한 관심(shape and weight concern),식사제한(restraint), 식사관심(eating concern), 체형과 체중 관련 신체상(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이었다. 내적 일관성 계수 Cronbach's α로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또한 높은수준이었다. 이런 결과는 KEDE-Q가 한국 사람이 겪고 있는 식사문제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기본적이고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식사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연구가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KEDE-Q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다른 타당화 전략을 이용한 타당도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식사장애, 신뢰도, 요인분석, 규준표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norm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KEDE-Q). The KEDE-Q was administered to 306 female college student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by Cronbach's α . The author also tried to make T score norms of the KEDE-Q using T score 70 as a cutoff point. By a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1 was 'weight and shape concern' which consisted of 11 items and explained 26.15% of variance, factor 2 was 'restraint'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4.04% of variance,factor 3 was 'eating concern'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2.02% of variance and factor 4 was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which consisted of 2 items and explained 7.27% of variance.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92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83 for 'restraint', .79 for 'eating concern', and .88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 score norms as a cutoff score were 53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16 for 'restraint', 10 for 'eating concern', and 9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KEDE-Q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evaluating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and related eating problems for the various purposes. The author also demonstrates T score norms of the KEDE-Q as a cutoff score of each subscale.

keywords
Eating disorders, KEDE-Q, reliability, factor analysis, norm
투고일Submission Date
2010-05-1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0-06-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