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Effectiveness of Emotion-Mindfulness on Emotional Clarity, Regulation of Emotion, Stress and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4, pp.635-652
https://doi.org/10.17315/kjhp.2010.15.4.004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motion-mindfulness on emotional clarity and regulation, and stress and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4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whose average age was 21.14 year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namely the emotional mindfulness group and the wait-list group. Fifteen participants dropped out of the program due to personal matters, etc, which left 24 in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and 25 in the wait-list group. The participants in emotion-mindfulness group completed 6 weeks of emotional mindfulness program in addition to education sessions and kept diaries at least three times a day.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s on emotional clarity (p=.01), selection of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ies (p=.00), putting into perspective (p=.01), refocusing on planning (p=.00),and positive reappraisal (p=.00) in emotion mindfulness group than in the wait-list group. Besides, increments in expecting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p=.02) and self-esteem (p=.00)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motional mindfulness group but not in the wait-list group.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relief on negative affects (p=.04), stress response (p=.04)and sleeplessness (p=.04) among physical symptoms. However, the effect on life motivation,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s and physical symptoms other than sleeplessness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mindfulness may be effective to enhance self-esteem, life expectancy and well-being, and reduce sleeplessness and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emotional mindfulness can effectively enhances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final note, it should be worth mentioning that this wa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make an attempt to prove the effects of emotional mindfulness.

keywords
정서 마음챙김,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신체증상, 스트레스, 웰빙, emotion-mindfulness, emotional clarit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hysical symptoms, stress, well-being

Reference

1.

강태영, 김정호 (2008). 정서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사회과학연구, 14, 147-156.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

강혜자 (2000). 자기차이, 정서 및 신체 증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193-208.

3.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39, 707-719.

4.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5.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안, 민경환 (2006).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3), 45-66.

7.

김정호 (1994). 구조주의 심리학과 불교의 사념처 수행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3, 186-206.

8.

김정호 (1996).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4, 35-60.

9.

김정호, 김선주 (1998).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사회과학연구, 5, 59-78.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

김정호 (2000a).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11.

김정호 (2000b).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 인지. 학생생활연구소, 16, 1-26.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13.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14.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5.

김정호 (2006). 동기충족 및 동기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 상태 이론의 적용. 스트레스연구, 14(2), 184.

16.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7.

김정호 (2007b). 한국판 긍정 및 부정 정서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18.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의 정서경험 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4), 343-350.

19.

박경옥 (2006).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 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20.

박인조, 민경환 (2005).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09-129.

21.

변지은, 이수정, 유재호, 이훈구 (1997). 개인의 인지적 종료 욕구와 정서에 대한 인식 정도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0, 55-77.

22.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정서의 구조: 한국에 정서단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07-123.

23.

이서정, 현명호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87-905.

24.

이소연 (2002). 정서인식, 스트레스 지각, 통증민감도가 신체화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26.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념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17-140.

27.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28.

이훈구, 이수정, 이은정, 박수애 (2002). 정서심리학. 서울: 법문사.

29.

전병제 (1974). 자아 개념 측정 가능성에 대한 연구. 연세논총, 11.

30.

정순중, 김유숙 (2006). 학부모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17-838.

3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2.

조현주, 전태연, 채정호, 우영섭, 최정은, 기백성, 임현우(2007).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 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63-679.

33.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45(6), 541-553.

34.

한덕웅, 전겸구, 탁진국, 이창호, 이건효 (1993). 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사건과 개 인차 변인. 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지도연구, 10(1), 1-35.

35.

한덕웅, 강혜자 (2000). 한국어 정서 용어들의 적절성과 경험빈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 63-99.

36.

Buck, R. (1988). Human motivation and emotion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37.

Cichetti, D. Ackerman, B. P., & Izard, C. E.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1-10.

38.

Cole, P. M., Michel, M. K., & Teti, L. 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A. Fox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Serial No. 240), 73-100.

39.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0.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41.

Garnefski, N. and Kraaij, V. (2006).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development of a short 18-item version (CER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6), 1045-1053.

42.

Greenberg, L. S.(2002). Emotion-Focused Therapy :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43.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271-299.

44.

Gross, J. J. (1999).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Cognition and Emotion, 13, 551-573.

45.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200-214.

4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47.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48.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ney, C., & Palfai,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C.: APA, 125-154.

49.

Swinkels, A. & Gui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50.

Thompson, R. A. (1991).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4, 269-307.

51.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52.

Western, D. (1994).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affect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62, 641-647.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