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실직상태 지속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 종단적 연구

Metal Health Changes of Various Types of Subgoups based on Unemployment and Reemployment Status: A Longitudinal Stud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0, v.15 no.4, pp.687-69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4.007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 후 실직자들의 정신건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실직한 지 2개월 미만인 30세 이상의 중, 장년층 실직자를 대상으로 6개월 간격으로세 번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얻어 분석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1,530명이 응답하였고, 6개월후에 실시한 2차 조사에서는 706명이 응답하였으며, 이 가운데 443명이 재취업에 성공하였다. 마지막으로 6개월이 지난 후 3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83명이 응답하였다. 3번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조사대상자들을 4가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집단 1은 실직-재취업-재취업 지속 집단이고, 집단 2는 실직-재취업-실직집단, 집단 3은 실직-실직-재취업 집단이며, 집단 4는 실직-실직-실직집단이었다. 이러한 네 집단들의 정신건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의일반적 정신건강, 불안, 우울, 그리고 신체화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직으로 인해 정신건강이나빠지나 재취업 성공으로 인해 정신건강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다시 실직했을 경우 첫 번째 실직 시와 비교해 정신건강이 크게 나빠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직자들의 정신건강은 지속적으로 나빠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Unemployment, Mental health change, Longitudinal study, Anxiety, Depression, Psychosomatic, 실직, 정신건강 변화, 종단적 연구, 우울, 불안, 신체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ental health of unemployed people changes based on various types of subgroups upon unemployment and reemployment status. Data were collected from unemployed people above 30 years old three times with six months intervals on each survey. 1,530 people responded to the first survey. Finally 483 people responded to the 3rd survey. These people were categorized into 4 different groups based on unemployment and reemployment status for each time: Group 1 consists of unemployment - reemployment -reemployment; Group 2 consists of unemployment - reemployment - unemployment. Group 3consists of unemployment - unemployment - reemployment; finally Group 4 consists of unemployment - unemployment - unemployment. Scales of GHQ, anxiety, depression, and psychosomatic were used to measure mental health. Results showed that generally mental health tends to become worse after unemployment whereas mental health tends to improve after reemployment success. Also, mental health for the continuous unemployed people tends to become stable across three different survey.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Unemployment, Mental health change, Longitudinal study, Anxiety, Depression, Psychosomatic, 실직, 정신건강 변화, 종단적 연구, 우울, 불안, 신체화

참고문헌

1.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I(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6(9), 210-235.

2.

장재윤, 장은영, 김범성, 노연희, 이지영, 한지현 (2004).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 121-144.

3.

한덕웅, 점겸구, 탁진국, 이창호, 이건효(1993). 생활사건과 개인차가 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생지도연구, 10, 1-13.

4.

Cook, D. G., Cummings, R. O., Bartley, M. J., & Shoper, A. G. (1982). Health of unemployed middle-aged men in Great Britain. The Lancet, 3, 1290-1294.

5.

DeFrank, R. S., & Ivancevich, J. M. (1986). Job loss: An individual level review and mode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8, 1-20.

6.

Goldberg, D. P. (1972). The detection of psychiatric illness by questionnair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7.

Hammarstrom, A., & Janlert, U. (1997). Nerv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unemployment: Selection or exposure? Journal of Adolescence, 20, 293-305.

8.

McKee-Ryan, F. M., Song, Z., Wanberg, C. R., & Kinicki, A. J. (2005).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during unemployment: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53-76.

9.

Murphy, G. C., & Athanasou, J. A. (1999). The effect of unemployment on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2, 83-99.

10.

O'Brien, G. E., & Kabanoff, B. (1979). Comparison of unemployed workers on values, locus of control, and health variables. Australian Psychologist, 14, 143-154.

11.

Paul, K. I., & Moser, K. (2009). Unemployment impairs mental health: Meta-analy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 264-282.

12.

Pearlin, L. I. (1989).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0, 241-256.

1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14.

Spielberg,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5.

Wanberg, C.. R. (1995).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unemployment and quality of reemploy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6, 40-5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