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The Study on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of adolescent offende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1, pp.63-78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05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MBCT) for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of adolescent offender. MBCT was reconstructed for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in other to adapted for adolescent offender, in which the session stretched 10th. After 10 sessions, participant group with 13 participant was compared with waiting group(n=13). To reach the goal we evaluated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offender. Results were that participant group have shown reduced their aggression and depression, but not impulsiveness. and they advanced mindfulness skill, particularly observation and acceptance. The last,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methods for maintenance of effect were suggested.

keywords
청소년 수형자, 공격성, 충동성, 우울,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 adolescent offender, aggression, impulsiveness, depression, MBCT

Reference

1.

경찰청 (2005). 경찰백서.

2.

고형일, 김학인, 최석만 (2004).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단전 호흡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검증. 교육문제 연구소, 21, pp. 119-142.

3.

곽금주, 윤진, 문은영 (1993). 한국 청소년 비행 연구의 동향과 심리학적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2-27.

4.

김은경, 홍영오 (2006). 가정, 학교에서의 청소년 문제행동 대책.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5.

김잔디 (2000).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명상 포함 집단 상담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정모 (2006).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명상기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127 - 1143.

7.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8.

김정임 (2003). 집단미술치료가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정호 (2004).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4(2), 27-44.

10.

김헌수, 민변근, 김현실 (1996). 청소년 범죄유형과 한국가족 형태간의 관계. 신경정신의학회지, 35(3), 574-593.

11.

박경택 (2001).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성수 (2001). 청소년비행의 예방과 재교육의 원리. 법무부청소년 범죄연구, 10, 11-14.

13.

박현선, 김유경 (1997). 가족관계와 청소년 비행: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113-135.

14.

법무부 보호국(2004). 청소년 비행 예방 및 보호교육 기능 강화방안.

15.

법무연수원 (2007). 범죄백서. 경기도: 우리인쇄사.

16.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7.

신정미 (2004). 수식관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심승남 (2003). 비행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훈련의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

안현석 (2001). 한국비행청소년 교화정책에 대한 개선방안. 교정학회지, 13. 57-96.

20.

유철민 (2009). 수형자에게 미치는 집단상담프로그램의효과. 교정연구, 45, 331-359.

21.

이덕이 (2006). 만트라 명상이 중학생의 공격성 완화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미경 (1995). 충동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성구 (2000). 비행청소년의 이해. 서울: 제 3공간.

24.

이성식 (2002). 청소년 비행에 대한 종합적 대책의 필요성과 전략. 범죄방지포럼, 90-95.

25.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2.

26.

이인혜 (2001). 기능적 충동성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성격적 및 인지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1), 67-89.

27.

이장현 (2004). 청소년범죄의 동향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18집. 39-66.

28.

이철호, 이민규 (2006). 교도소 수형자의 성격특성과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1), 77-90.

29.

이철호, 이민규 (200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35-46.

30.

이혜성 (2002). 청소년 비행상담. 청소년상담원.

31.

장양자 (2000).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전미애 (2010).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 근거이론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전미애, 김정모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대학생의 사고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 795-813.

34.

정유희, 안창일 (2004). 성별, 재범여부, 범죄유형에 따른 수형자의 NEO-PI-R의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25-740.

35.

천성문, 이영순, 이현림 (2000).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52-82.

36.

한진숙,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1041-1060.

37.

홍경자, 노안녕 (1983).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및 상담심리학보, 4(1), 19-31.

38.

황선정 (1998). 수식관 명상이 중학생의 충동성, 불안,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Baer, R. A. (2003).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 125-143.

40.

Baer, R. A., Smith, G. T., & Allen, K. B. (2004).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11, 191-206.

41.

Berkowitz, L. (1993).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New York: McGraw-Hill.

42.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l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Z.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 230-241.

43.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44.

Campos, J. J., Frankel, C. B., & Camras, L. (2004). On the nature of emotion regulation. Child Development, 75, 377-394.

45.

Carson, J. W., Carson, K. M., Gil, K. M., & Baucom, D. H. (2004).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Behavior Therapy, 35(3), 471-494.

46.

Craighead, W. E. (1991). Cognitive factors and classification issues i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311-326.

47.

Dickman, S. J. (1990).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Personality and cognitive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95-102.

48.

Finucane, A., & Mercer, S. W. (2006).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study of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active depression and anxiety in primary care. BioMed Central Psychiatry, 6, 1-14.

49.

Germer, C. K., Siegel, R. D., & Fulton, P. R. (2009).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서울: 무수(원전은 2005에 출판)

50.

Gottfredson, M.,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51.

Heppner, W. L., Kernis, M. H., Lakey, C. E., Campbell, W. K., Goldman, B. M., Davis, P. J., & Cascio, E. V. (2008). Mindfulness as a means of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evidence. Aggressive Behavior, 34, 1-11.

52.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장현갑,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53.

Ma, S. H., & Teasdale, J. D. (2004).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Replication and exploration of differential relapse prevention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 31-40.

54.

Marlatt, G. A. (1994). Addiction, mindfulness, and acceptance: Content, context, and the typ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 (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 175-197). Reno, NV: Context Press.

55.

Melbourne Academic Mindfulness Interest Group (2006). Mindfulness-based psychotherapies: A review of conceptual foundations, empirical evidence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 285-294.

56.

Moffit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 674-701.

57.

Nirbhay, N. S., Robert, G. W., Angela, D. A., & Rachel, E. M. (2003). Soles of the feet : A mindfulness-based self-control intervention for aggression by an individual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mental illnes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 158-169.

58.

Orme-Johnson, D. W., & Moore, R. M. (2003). Original research on rehabilitation. In G. A. Parks, & G. A. Marlatt. (2003). (Eds.), Transcendental meditation in criminal rehabilitation and crime prevention. (pp. 89-95). New York: The Haworth Press.

59.

Quay, H. C. (1983). Classification. in h. c. Quay, & J. S. Werry. (Eds.), Psychopathological disorders of childhood, 3d ed. (pp. 1-34). New York: wily.

60.

Rainforth, M. V., Alexander, C. N., & Cavanaugh, K. L. (2003). Effects of the transcendental meditation program on recidivism among former inmates of folsom prison: Survival analysis of 15-year follow-up data. In G. A. Parks, & G. A. Marlatt. (2003). (Eds.), Transcendental meditation in criminal rehabilitation and crime prevention. (pp. 181-203). New York: The Haworth Press.

61.

Ramel, W., Goldin, P. R., Carmona, P. E., & McQuaid, J. R. (2004).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cognitive processes and affect in patients with pas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8, 433-455.

62.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이 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 은 2002에 출판)

63.

Shapiro, S. L. (2009). The integration of mindfulness and psycholog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6), 555-560.

64.

Shapiro, S. L., Schwartz, G. E. R., & Bonner, G. (1998).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medical and premedical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 581-599.

65.

Teasdale, J. D. (1999). Metacognition, mindfulness and the modification of mood disorder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6, 146-155.

66.

Teasdale, J. D., Segal, Z. V., Williams, J. M., Ridgeway, V., Soulsby, J., & Lau, M.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615-623.

67.

Wells, A. (2002). GAD, metacognition, and mindfulness: An information processing 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search and Therapy, 37, 585-594.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