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분노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Siegel의 대인 신경 생물학적 모형에 근거하여 외현 기억과 암묵 기억 요소들을 작업 기억 안에서 동시에 다루도록 개발된 절충적인 역기능적 분노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로 특성분노, 역기능적 분노, 불안정 애착 및 초기 부적응 도식에서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역기능적 분노 수준이 높은 24명의 대학생들을 선발하고, 이중 12명에게 치료 프로그램이 시행되었고, 나머지 12명은 통제 집단에 배정되었다.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추적 검사가 시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검사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특성 분노와 분노 표출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추적 검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가 계속되었다. 또한, 분노억제 점수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추적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임으로서 지연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불안정 애착의 점수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기 역기능적 도식 중에서 결함 도식의 점수에서는 사후 검사간에 집단간 차이를 보였으나 추적 검사에서는 유지되지 않았고 시기에 따른 집단내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핍 도식 점수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역기능적 분노의 진정한 원인은 현재의 자극이 아니라, 이 자극과 과거 다양한 기억표상으로 저장되어 있는 외상적 사건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eclectic group therapy for dysfunctional anger control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program for dysfunctional anger control eclects anger-related therapeutic elememts to be suggested in previous researches on the basis of Siegel's interpersonal neurobiology model. The focus of this program is to work at deep levels with the body, with emotions and with many different elements of memory consisting of sematic memory, episodic memory and implicit memory during the activation of representations related to anger episode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group of 24 undergrauate students believed to have high level of dysfunctional anger were selected. This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gainst these two subgroup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herapy program to reduce dysfunctional anger level. A follow up to know whether the effect of the program had been maintained or not was performed one month after the therapy program was complete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based on anger diary, SCT, participants' report on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ysfunctional anger levels of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quantitative post test revealed that the effect in reducing insecure attachment & emotional deprivation schema level was insignificant, whereas the qualitative post test showed some remarkable change sign into secure attachment & adaptation schem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irst, the true source of dysfunctional anger would be not a current stimulus, but the effect of interaction that current stimulus and traumatic event in store to various memory representations of the past. Second, the therapeutic approach for anger control with secure attachment factors including contingent and reflective communication is useful.
강미량 (2008).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한 분노조절 프로그 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교 육연구, 31, 89-102.
강은숙 (2007). REBT에 근거한 미술치료가 가출청소년 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청구논문.
권석만, 신민섭, 한수정, 김중술 (2002). 성인기 애착 양 식원형과 내적 작동 모형 요소간 관련성에 대 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3-124.
김경아 (2008). 사이버 상담을 통한 분노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논문.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 정신진단 검사 실 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김나리 (2002).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 해 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기분 조절 기 대치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심 (2003). 역동적 심상치료가 유방암환자의 억압된 분노와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지: 15(4), 639-649.
김현주 (2008).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수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일반 분노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서강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류창현, 이수정 (2009).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과 분노 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55-79.
서덕남 (2009). 감사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조절에 미치 는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논문.
서수균 (2005).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한국학술정보.
염승훈 (2008). 분노수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ACT 모형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오재호 (2008). 고등학생의 분노 조절을 위한 인지행동 적 시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 영 (2004). 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 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청구논문.
이주영 (2008).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 감소를 위 한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철호, 이민규 (2007).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 형자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 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35-46.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 판 STAXI 척도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 회지: 건강, 2. 60-78.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8). 한국판 상태-특성분노표 현 척도(STAXI-K):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18-22.
전민정, 강차현 (2007). 분노를 억제하는 성인여성의 집 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심리치료, 7(1), 1-22.
조성호 (2001a).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심 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 177-192.
천성문 (1999).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최은영, 박경 (2008). 집단미술치료가 해외거주 청소년 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분노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8(2), 67-85.
최정윤 (2002). 심리검사의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한수정, 신민섭, 김중술, 권석만 (2002). 성인기 애착 양 식원형과 내적 작동 모델 요소간 관련성에 대 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93-124.
홍수경 (2003). 아동학대가 아동의 부적응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청구논문.
Actor, R. G. & During, S. M., (1992). Preliminary results of aggression management training for aggressive par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ence. 7, 410-417.
Alan, T. G. (1993). General anger reduction treatment: A Comparative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s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TX: Harcourt Brace, San Antonio.
Deffenbacher, J. L., Lynch, R. S., Oetting, E. R., and Kemper, C. C. (1996). Anger reduction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149-157.
Deffenbacher, J. L. (1999). Cognitive-Behavioral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295-309.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for the primary symptom dimentions of the SCL-90-R.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7-356.
DiGiuseppe, R. (1999). End Piece: Reflections on the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365-379.
Guiford, J. P. & Fruchter, B. (1981).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NY; McGraw-Hill.
Howells, K., Day, A. (2003). Readiness for anger management: clinical and theoretical issu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3, 319-337.
Kaplan, F. F. (2009). Art Therapy and Anger. The art in psychotherapy, 36(1), 47-48.
Kazdin, A. E. (1993). Psycho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ent progres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American Psychologist, 48, 644-657.
Kendall, P. C. (1991). Guiding theory for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In P. C. Kendall(Eds.),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 NY: The Guildford Press.
Kendall, P. C., Ronan, & Epps, 1991). Aggression in children/adolesents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perspectives. In Pepler, D. J., & Rubin, K. H. (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pp. 341-360). Hillsdale, NJ: Erlbaum.
LeDoux, J. E. (1993). Emotional networks in the brain. In M. Lewis and J. M. Haviland(Eds.), Handbook of Emotions, NY: The Guiford Press.
LeDoux, J. E. (2005). 시냅스와 자아 [Synaptic self: How our brains become who we are]. (강봉 균 역). 서울: 소소. (원전은 2002년에 출판)
LeDoux, J. E. (2006). 느끼는 뇌 [The emotional brain]. (최준식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Leifer, R. (1999). Buddhist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339-351.
Lochman, J. E.,(1985). Effects of different treatment lengths in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with aggressive boy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16, 45-56.
Moore, K. J. & Shannon, K. K. (1993). The development of superstitious beliefs in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of anger: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experimental program evaluation in applied settings. Behavioral Residential Treatment, 8, 147-161.
Novaco(1976). Treatment of chronic anger through cognitive & relaxation controls.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4(6), 681-691.
Ornstein, P. H. (1999).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rage in self psycholog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283-293.
Paivio, S. C. (1999). Experiential conceptau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311-324.
Plutchik, R. (2004). 정서심리학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rom 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박권생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Robins S. & Novaco, R. W. (1999). Systems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325-337.
Rosenberg, M. B. (2004). 비폭력대화 [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Life]. (캐서 린 한 역). 서울: 바오. (원전은 2003년에 출판)
Siegel, D. J. (2001). The development mind: How relationships & the brain interact to shape who are. NY: The Guiford Press.
Siegel, D. J. (2003). The development mind and the resolution of trauma. In M. F. Solomon & D. J. Siegel(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 1-56.
Simpson, J., Rholes, W., & Nelligan, J. S. (1992). Support giving within couples in and anxiety-provoking situation; The role of attachment sty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434-446.
Smith, L. & Beckner, B. M. (1993). An anger management workship for inmates in a medium security facility.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19, 103-111.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Eds),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pp. 89-108). NY: Sprin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