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용서가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Forgiveness on Hwa-byung Symptom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4, pp.691-707
https://doi.org/10.17315/kjhp.2011.16.4.004
구세준 (중앙대학교)
현명호 (중앙대학교)
배성만 (중앙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병 증상과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전략, 용서 가능성의 관련성을 확인해보았다. 설문 참여자는 성인 남녀 768명(남성 316명, 여성 452명)이었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전략과 용서 가능성을 매개 변인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화병 증상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또한 문제 중심적 대처, 용서 가능성은 부적으로, 회피적 대처는 정적으로 스트레스와 화병을 매개하였다. 검증된 모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차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화병은 성인 남녀 모두에게 발생될 수 있으며, 심리학적 개입이 치료와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화병, 스트레스, 대처 전략, 용서 가능성, Hwa-byung, stress, coping strategy, forgiveness likelihoo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Hwa-byung symptoms, perceive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forgiveness likelihood. Participants included 768 adults (316 males, 452 fema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find out how the perceived stress affects Hwa-byung symptoms being mediated by coping strategies and forgiveness likelihood.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stress affected directly Hwa-byung symptoms. Also, problem-focused coping and forgiveness likelihood medi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wa-byung symptoms, whereas avoidant coping mediated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wa-byung symptom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As a result, cross-validation was proven. The result suggested that Hwa-byung can occur regardless of gender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wa-byung.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화병, 스트레스, 대처 전략, 용서 가능성, Hwa-byung, stress, coping strategy, forgiveness likelihood

참고문헌

1.

공수자, 이은희 (2006).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21-40.

2.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2008).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37-252.

3.

김계수(201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4.

김민정, 현명호 (2010).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 증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19-33.

5.

김종우 (2008). 가슴 깊은 곳 응어리를 떨쳐내는 화병극복법. 레이디경향 5, 서울: 경향신문사.

6.

김용서 (2006). 한방과 건강 : 소아화병. 한국지방재정공제회, 6, 122-123.

7.

김지영 (2004). 스트레스,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화병간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민성길 (1989).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4), 604-616.

9.

민성길, 김경희 (1998). 홧병의 증상. 신경정신의학, 37(6), 1138-1145.

10.

민성길, 남궁기, 이호영 (1990).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연구. 신경정신의학, 29(4), 867-874.

11.

박애순 (1998). 홧병 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부부갈등, 인지적 평가 및 대처방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영숙, 최선옥 (2001). 홧병 연구에 관한 고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2(3), 705-715.

13.

엄효진, 김종우, 황의완 (1997). 홧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화의 양상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8(1), 141-150.

14.

오영희 (1995). 용서를 통한 한의 치유.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7(1), 70-94.

15.

이동귀, 박현주 (2009). 대처양식 집단에 따른 꾸물거림 및 정신건강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43-57.

16.

이순묵 (1990). 공변량구조분석. 서울: 성원사.

17.

이윤희 (2003). 화병의 발생기제: 생활 스트레스와 화의 경험 및 표현, 그리고 성격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정은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 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현주 (2009). 관조적 자기-자비와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된 통제가능성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호진 (2009). 스트레스 및 부당함 평가, 분노대처행동이 중년기혼여성의 화병증상에 미치는 영향.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재환, 김종우, 황의완 (2000). 한의학적 홧병 치료에 따라 나타나는 홧병 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임상양상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1(1), 47-57.

22.

전겸구, 김교헌 (2003). 한국 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39.

23.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24.

정준용 (2005). 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주성아 (2009). 직무수행 중 사상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상진, 김기범, 김지영 (2000). 한국인의 팔자관 분석:자기 신세 조망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 70-71.

27.

최상진, 이요행 (1995). 한국인 홧병의 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27-338.

2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s.

30.

Carver, C. 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 Consider the Brief COP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Medicine. 4(1), 92-100.

31.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J.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67-283.

32.

Cerbone, F. G., & Larison, C. (2000). A bibliographic essa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stance use. Substance Use & Misuse, 25(5), 757-786.

33.

Cohen, S. (1986). Contrasting the hassle scale and the perceived stress scale. American Psychologist, 41, 716-719.

34.

Cohen, S. & Williamson, G. M. (1998).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 Spacapan & S. Oskamp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pp. 31-67). Newbury Park, CA: Sage.

35.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36.

Cudeck, R., & Henly, S. J. (1991). Model selection in covariance structures analysis and the "problem" of sample size: A clarific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9(3), 512-519.

37.

Enright, R, D. (2004). 용서는 선택이다[Forgiveness is a choice]. (채규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2001에 출판)

38.

Enright, R. D., & the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 (1991). The moral development of forgivenes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1. NJ: Erlbaum.

39.

Fassinger, R. E. (1987).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4), 435-436.

40.

Hayes, S.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 therapy. Behavior Therapy, 35, 639–.665.

41.

Hewitt, P. L., Flett, G. L., & Mosher, S. W. (1992). The perceived stress scale: Factor structure and relation to depression symptoms in a psychiatric samp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4, 247-257.

42.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에 출 판)

43.

Lawler-Row, K. A., Karremans, J. G., Scott C., Edlis-Matityahou, M., & Edwards, L. (2008). Forgiveness, physiological reactivity and health: The role of ang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8, 51–58.

4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Verlag.

45.

Lazarus, R. S., DeLongis, A., & Folkman, 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3), 486-495.

46.

Maltby, J., Macaskill, A., & Gillett, R. (2007). The cognitive nature of forgiveness: Using cognitive strategies of primary appraisal and coping to describe the process of forgiv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3(6), 555-566.

47.

Maltby J., Liza Day L., & Barber L. (2004). Forgivenes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using an adaptational-continuum model of personality and cop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1629–1641.

48.

Masel, C. N., Terry, D. J., & Gribble, M. (1996). The effects of coping on adjustment: Re-examming the goodness of fit model of coping effectiveness. Anxiety, Stress, and Coping, 9, 279-300.

49.

MacCallum, R. M., Rosnowski, C. M., & Reith, J. (1994). Alternative Strategies for Cross-Valid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9(1), 1-32.

50.

McCullough, M. E., Rachal, K. C., Sandage, S. J., Worthington, E. L., Brown, S. W., & Hightm, T. L. (1998).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II.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6), 1586-1603.

51.

Pargament, K. I., & Rye, M. S. (1998). Forgiveness as a method of religious coping. In E. L. Worthington (Ed.). Dimensions of Forgiveness (pp. 59–.78). London: Templet on Foundation Press.

52.

Qingbo, L., Toshiaki, N., Masahiro, S., & Toshinori, K. (2009).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life stress on daily depression: a sample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7), 639-652.

53.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 813–819.

54.

Rye, M. S., Loiacono, D. M., Folck, C. D., Olszewski, B. T., Heim, T. A., & Madia, B. P. (2001).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forgiveness scales. Current Psychology, 20(3), 260–277.

55.

Stader, S. R., & Hokanson, J. E. (1998). Psychosocial antecedents of depressive symptoms: An evaluation using daily experiences method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1), 17-26.

56.

Subkoviak M. J., Enright, R. D., Wu C., Gassin, E. A., Freedman, S., Olson, L. M., & Sarinopoulos, I. (1995). Measuring interpersonal forgiveness in late adolescence and middle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ce, 18(6), 641-655.

57.

Terry, D. J., & Hynes, G. J. (1998). Adjustment to a low-control situation: Reexamining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4), 1078-1092.

58.

Wade, N. G., Bailey, D, C., & Shaffer, P. (2005). Helping Clients Heal: Does Forgiveness Make a Differenc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6), 634-641.

59.

Worthington, E. L., & Scherer, M. (2004). Forgiveness is a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that can reduce health risks and promote health resilience: theory, review, and hypotheses. Psychology and Health, 19(3), 385-405.

60.

Worthington, E. L., Sandage, S. J., & Berry, J. W. (2000). Group interventions to promote forgiveness. In M. E. McCullough, K. I. Pargament & C. E. Thoresen (Eds.), Forgive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228-253). New York: Guilford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