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가 여자대학생의 우울과 웰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Depression and Well-being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1, pp.43-63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3
이희영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이 우울 증상이 있는 여자대학생의 우울, 자살사고, 삶의 의미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참가자는 BDI 점수가 10점 이상이면서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나 음주ㆍ약물 의존 문제가 없는 일반대학생이었다. 본 연구에는 프로그램 집단 8명과 통제집단 9명이 최종적으로 참가하였으며, 측정에는 자살사고 척도(SSI), 삶의 의미 척도(PIL), 삶의 만족 척도(SWLS), 삶의 기대 척도(LSES), 수용 행동 척도(AAQ), 우울 척도(BDI-I),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PANAS),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KIMS)를 사용하였다. MBCT의 주요한 효과 기제인 마음챙김과 심리적 수용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마음챙김(전체), 마음챙김(비판단적 수용) 및 심리적 수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의 우울, 자살사고,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삶의 기대,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MBCT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MBCT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부정 정서 및 마음챙김(집중행동)의 변화가 유의한 수준에 근접하였다. 그러나 자살사고, 긍정 정서, 마음챙김(주의집중), 마음챙김(기술)에서의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MBCT가 비임상집단인 일반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수용 수준을 증진시키고 우울 수준을 경감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마음챙김,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우울, 심리적 수용, Mindfulnes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Depress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suicidal thought, depression, emotion, purpose in life and well-being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17 female college students, who showed the BDI score of above a 10, but no other psychiatric symptoms or substance-related disord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MBCT group (n=9) or the control group (n=8). The MBCT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per week, over 8 week period, and each session lasted for 7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cor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mindfulness (total) and mindfulness (accepting without judgment) in the MBCT group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ief in depression in the MBCT group. Besides, the improvement of purpose in life, satisfaction with lif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negative affect and mindfulness (acting with awareness) in the MBCT group approached the level of significa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suicidal thought, positive affect, mindfulness (observing) and mindfulness (describing).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BCT program can help depressive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마음챙김,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우울, 심리적 수용, Mindfulnes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Depression, Psychological Acceptance.

참고문헌

1.

경향닷컴 (2008. 10. 6). 우리나라 국민의 2.5% 우울증장애 앓아.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 html. 에서 2011, 11, 7 인출.

2.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3.

김예원, 이정애, 오강섭, 임세원 (2011).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에 따른 불안민감성(AnxietySensitivity)의 차별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30(1), 21-38.

4.

김우형, 최연구, 김성중, 조수형 (2010). 우울증이 자살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21(5), 670-677.

5.

김정모 (2006).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1123-1139.

6.

김정모 (2011).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27-45.

7.

김정모, 전미애(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8.

김정호 (1996).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4, 35-60.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9.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10.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287-315.

11.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2.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13.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4-341.

14.

김정호 (2007b). 한국판 긍정 및 부정 정서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15.

김정호 (2009).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324-341.

16.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 중재법의 통합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5(3), 369-387.

17.

김정호 (2011). 마음챙김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18.

김정호, 김미리혜, 김수진 (2003). 호흡마음챙김명상이과 민성 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미친 효과: 예비적 연구. 인지행동치료, 3(1), 69-80.

19.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 187-205.

20.

남궁달화(1981). Purpose in Life among Korean High School Seniors.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USA.

21.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박광희 (2008). 대학생 우울에 관한 예측 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38(6), 779-788.

23.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673-688.

24.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 마음챙김이 여자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 조절과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35-652.

25.

신정연, 손정락 (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 우울,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79-295.

26.

심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9(1), 1-19.

27.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28.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29.

이안영, 김진이 (2006). 시설거주 청소년의 삶의 의미,신체상, 자존감 및 이타성과 탄력성간의 관계.한국청소년연구. 17(2), 159-183.

30.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0, 98-113.

31.

이주연 (2007). 마음챙김명상 중심의 건강 프로그램이비 만 여자 중학생의 폭식 행동, 비만행동, 자기 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 중학생을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1027-1040.

33.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4), 935-946.

34.

이희영 (2009). 마음챙김명상이 극대화자의 극대화 수준및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임성견, 김정호 (2008).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의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3(1), 221-236.

36.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37.

장현갑, 배재홍, 정애자, 권석만 (2007). 마음챙김명상108 가지물음. 서울: 학지사.

38.

전미애, 김정모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대학생의 사고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795-813.

39.

전미애, 김정모 (2011a).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가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63-78.

40.

전미애, 김정모 (2011b).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1), 113-135.

4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42.

최명심, 손정락 (2010). 내재적 종교 성향과 삶의 의미에 서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91-105.

43.

홍성영 (2006). 마음챙김명상이 비만 여대생의 스트레스, 섭식 조절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4.

황효정, 김교헌 (1999). 인지행동프로그램과 명상훈련프 로그램이 여중생의 신체상 불만족과 폭식의 개선 및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140-154.

4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5). 정신장애의 진 단 및 통계편람 제 4판 (이근후, 강병조, `이길홍, 광동일, 이무석, 민성길, 이정호, 박민 철, 정성덕, 박영숙, 정인과, 신석철, 한오수, 우 종인, 황익근 역). 서울: 하나의학사(원전은 1994년에 출판).

46.

Andrews, F. M.,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New York: Plenum Press.

47.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48.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2-352.

49.

Baer, A., Smith, G. T., & Allen, K. B. (2004).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11, 191-206.

50.

Barnhofer, T., Crane, C,, Hargus, E., Amarasinghe, M., Winder, R., & Williams, J. M. G. (2009).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7, 366-373.

51.

Bond, F. W., & Bunce, D. (2003). The Role of Acceptance and Control in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1057-1067.

52.

Carlson, L. E., Speca, M., Patel, K. D., & Goody, E.(2003).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mood, symptomsof stress, and immune parameters in breastand prostate cancer outpatients.Psychosomatic Medicine, 65, 571-581.

53.

Chiesa, A., & Serretti, A. (2011).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for psychiatr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iatry Research, 187, 441-453.

54.

Crumbaugh, J. C., & Maholick, L. T. (1963). An experimental study in existentialism: The psychometric approach to Frankl's concept of noogenic neruos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55.

Debats, D. L., Drost, J., & Hansen, P. (1995).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 359-374.

56.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57.

Diener, E., Scollon, C. N., & Lucas, R. E. (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15, 187-219.

58.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59.

Diener, E., Suh, E., Lucas, R. E., & Smith, H. L.(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76-302.

60.

Dobkin. P. L. (2008).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What processes are at work?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14, 8-16.

61.

Feist, F. J., Bodner, T. E., Jacobs, J. F., Miles, M., & Tan, V. (1995). Integrating top-down and bottom-up structural models of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138-150.

62.

Finucane, A., & Mercer, S. W. (2006).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study of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active depression and anxiety in primary care. BMC Psychiatry, 6(14). http://www.biomedcentral. com/1471-244X/6/14

63.

Germer, C. K. (2005). Mindfulness: What is it? What does it matter? In C. K. Germer, R. D. Siegel, & P. R. Fulton (Eds.),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pp. 3-27). New York: Guilford Press.

64.

Godfrin, K. A., & Heeringen, C. (2010).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recurrence of depressive episode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8, 738-746.

65.

Grossman, P., Niemann, L., Schmidt, S., & Walach, H. (2004).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A meta-analysi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 35-43.

66.

Hayes, S. C., & Smith, S. (2010). 마음에서 빠져나와삶 속으로 들어가라. (문현미, 민병배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5년에 출판).

67.

Kabat-Zinn, J. (2011).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上.(장현갑, 김교현, 김정호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0에 출판).

68.

Kim, J.-H. (2011). Problems of the measurement of mindfulness: Toward the correct definition of mindfulness. The 21st World Congress of Psychosomatic Medicine, Seoul, Korea.

69.

Lucas, R. E., Diener, E., & Suh, E.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71, 616-628.

70.

Murray, C. L., & Lopez, A. D. (199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mortality and disability from disease, injuries and risk factors in 1990 and projected to 2020.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71.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72.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2006).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2002년에 출판).

73.

Shapiro, S. L., Bootzin, R. R., Figueredo, A. J., Lopez, A. M., & Schwartz. G. E. (2003). The efficacy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the treatment of sleep disturbanc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4, 85-91.

74.

Speca, M., Carlson, L. E., Goodey, E., & Angen, M. A. (2000). A randomized, wait-list 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effect of a mindfulness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mood and symptoms of stress in cancer outpatients. Psychosomatic Medicine, 62, 613-622.

75.

Teasdale, J. D., Segal, Z. V., Williams, J. G., Ridgeway, V, A., Soulby, J. M.,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615-623.

76.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77.

Williams, J. M. G., Duggan, D. S., Crane, C., & Fennell, M. J. V. (2006).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session, 62(2), 201-210.

78.

Williams, J. M. G., Alatiq, Y., Crane, C., Barnhofer, T., Fennell, M. J. V., Duggan, D. S., Hepburn, S., & Goodwin, G. M. (2008).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MBCT) in bipolar disorder: between episode functioni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07, 275-279.

79.

Witek-Janusek, L., Albuguerque, K., Chroniak, K. R., Chroniak, C., Curazo-Arvizu, R., & Mathews, H. L. (2008). Effect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n immune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coping in women newly diagnosed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2, 969-981.

80.

Young, S. N. (2011). Biologic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growing insights into neurobiologic aspects of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Journal of Psychiatry & Neuroscience, 36(2), 75-7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