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영향을 미치는 11개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알아보았다. 총 11개 요인들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와 더불어 4개의 사회관계 요인 및 5개의 개인요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매 2년 간격으로 2009년까지 4차가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은 4회기에 모두 참여한 836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료이다. 그 결과 과거질병을 포함한 8개 요인이 1차 함수 형태로 연도가 지날 수록 상승 또는 하강하였고, 사회지원을 포함한 5개 요인이 2차 함수 형태로 상승 또는 하강곡선을 나타냈다. 한편, 주관안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들은 경제상태, 결혼만족, 부적정서 및 신체건강 요인이었다. 신체건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은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정적정서 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시간의 변화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환경적 특징의 변화가 한국 노인들의 평가에 반영되었음에도 여전히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의학이나 경제학 요인들과 함께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각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itudinal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the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 elderly. Here,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ffspring, expectation from offspring, and social-support, personal factors consist of satisfaction of self-respect nee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drinking). Consistently integr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836 elderly men and women (mean age = 68.16yrs/base on 2003 year) residing in the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s via interviews(Time 1). They were then re-interviewed two years later (Time 2, Time 3, Time 4). In the result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repeated measure), the eight factors, including illness history,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or a downward tendency by linear type. The five factors, including social-support,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U) or a downward tendency (reverse U) by quadratic typ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nly the five predictable factors of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during the short term (2 yrs), middle term (4 yrs) and long term (6 yrs) periods. Also, in physical health, only the four predictable factors of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short term, middle term and long term perio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 (2004). 한국 노인의 성공적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김영범 (2009). 부양책임감의 변화: 세대효과와 연령효과.한림고령자패널 4차조사 학술심포지움, 26-30.
백지은, 최혜경 (2005). 한국 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박군석 (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개념 및 기준. 이주일, 박군석, 유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저). 성공적인 한국 노 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pp. 45-78). 서울: 박학사.
박군석 (2009a).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다른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2),291-318.
박군석 (2009b). 한국 노인의 생존과 사망집단의 판별에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2), 345-362.
박군석, 한덕웅, 이경순 (2004). 한국의 장년과 노년에서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연령대별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9(2), 441-470.
박군석, 한덕웅, 최훈석 (2005).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terme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elders in Korea. The 2nd Asian Congress of Health Psychology.
신현구, 부가청, 반정호 (2005). 고령자 패널 조사 소개.노동리뷰, 4, 58-69.
유경, 민경환 (2005). 정서대처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1-18.
유경, 이주일, 강연욱, 박군석 (2009).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 종단 연구 분석. 한국노년학, 29(2), 729-742.
이주일, 박군석 (2005). 노인심리 연구 실습.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이주일 (2008). 성공적 노년을 보낸다는 것의 의미. 이주일, 박군석, 유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저).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pp. 1-20). 서울: 박학사.
통계청 (2009. 7. 9). 세계 및 한국의 인구현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09). 한국 노인의 삶: 한림고령자패널 2003. 서울: 소화.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s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Eds.), Successful Aging.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 T.(1999). talking time seriously : A theory of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Psychologist, 54, 165-181.
Diener, E., Suh, E. Lucas, R, E., & Oishi(2002). Su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Snyder, C. R., & Lopez, S, J.(Eds.)(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 63-73). N.Y.: Oxford Univ. Press.
Kunzman, U., Little, T. D., & Smith, J. (2000). Is age-related stability of subjective well-being a paradox?: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Berlin aging study. Psychology and Aging, 15, 511-526.
Lawton, M. (1987). Lawton's PGC morale scale. Polisher Research Institut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ayer, K. U., Maas, I., & Wagner, M. (1999).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social inequalities in old age. In P. B. Baltes & K. U. Mayer(Eds.), The Berlin Aging study: Aging from 70 to 100(pp. 227-255).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Merluzzi & Martinez Sanchez, M. A. (1997). Assessment of self-efficacy and coping with canc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 Behavior inventory. Health Psychology, 16, 163-170.
Penninx, B. W. J. H., Leveille, S., Ferruci, L., van Eijk., J. M., & Guralnik, J. M. (1999). Explo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n physical disability: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 1346-1352.
Seelbach, W. C. (1978). Correlates of aged parent's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realizations. The Family Coordinator, 27(4), 341-350.
Somerfield, M. R., & McGrae, R. R. (2000). Stress and coping research: Methodological challenges, theoretical advances, and clinical applications. American Psychologist, 55, 620-625.
Torres, S. (2002). Relaional values and idears regarding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3(3), 417-432.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Williamon, G. M., & Dooley, W. K.(2001). Aging and coping : The activity solution. In C. R. Snyder(Ed.), Coping with stress: Effective people and processes (pp.240-258). N. Y.: Oxford Univ. Press.
Zimet, G. D., D 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http://www.hallym.ac.kr/~aging (120701 기준, http://cafe.naver.com/hallymaging/의 해당 목 록에서 관련 자료 확인 가능)
http://www.kli.re.kr/klips/ko/main/main.jsp의 초기 화면 가운데 ‘한국노동패널’, ‘소개’에서 해당 자료확인 가능.
http://www.koweps.re.kr의 초기 화면 가운데 ‘데이터정보’에서 해당 자료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