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3, pp.697-709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evant predictor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in reference to acculturative stress. Electronic literature searches are conducted for PubMed, CINAH, RISS, Naver academic, KISS, NDSL, Nanet, Kci, DBpia and KoreaMed. Of 482 studies identified, 38 me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8 a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A total of 62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as possible predictors for acculturative stress. Of these, 54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e 12 factors that are identified most often as predictors are monthly household income, ability to speak Korean,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nationality, social support, number of children, duration of marriage, marital satisfaction, couple’s age difference, spouse and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type of acculturation. Types of intervention include art therapy, dance therapy, horticultural therapy, and music therapy. The effect size using the random model effect is high (d=-.83, 95% CI:-1.34-0.32), even though the numbers of intervention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very rare.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in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next steps will be to construct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relevant variabl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nd to develop an actual intervention program.

keywords
Marriage immigrant woman, acculturative stress, predictor, meta-analysis,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예측변인, 메타분석

Reference

1.

권명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174-2197.

2.

권유경 (2009).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미경 (2010). 단기집단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4.

김순이 (2010).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지현 (2011). 민요중심의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중국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현경 (2009).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문화 격차인식, 문화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 229-254.

7.

김현실 (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 경북 지역을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20, 188-198.

8.

남상아, 백지숙 (2011). 다문화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가아동과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9(1), 3-12.

9.

노유성 (2004).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영춘, 오복자 (2011). 암환자의 통증에 적용한 중재효과의 메타분석. 종양간호학회지, 11, 83-92.

11.

박경동 (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한국의 광주․전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법무부 (2011). 2011년 11월 통계월보. 경기: 법무부.

13.

송선화, 안효자 (2011).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경험. 정신간호학회지, 20, 167-179.

14.

송혜향 (2006). 의학, 간호학, 사회과학 연구의 메타분석법. 서울: 청문각.

15.

신순식 (2010).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특성과 어머니가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자녀를 위한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幼兒敎育硏究, 30,175-193.

16.

안준희, 조정희 (2011).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충청남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2, 137-176.

17.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 137-168.

18.

이미승, 김갑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3(4), 123-143.

19.

이선자, 이상미, 서정근 (2010).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13(4), 15-22.

20.

이소래 (1997).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화선 (2010). 결혼이주여성의 무용 참여가 문화 적응스트레스 및 신체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최문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웰니스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통계청 (2012). 2011년 혼인 이혼 통계. 대전: 통계청.

24.

하윤주 (2011). 원예요법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Bhugra, D. (2003). Migration and depression. Acta Psychiatr Scand., 108(Suppl. 418), 67-72.

26.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7.

Dinesh, B., & Peter, J. (2001). Migration and mental health. Advances in Psychatric Treatment, 7, 216-221.

28.

Huey S J, & Polo A J.(2008). Evidence‐based psychosocial treatments for ethnic minority youth.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7(1), 262-301.

2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1). World migration report 2011. Retrieved December 11, 2011, from http://publications.iom.int/book store/free/WMR2011_English.pdf.

30.

Library, C. (2011).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trieved March 18, 2011, from http://www.cochrane.org/search/site/risk%20of %20bias

31.

Mauro, G. C., Mariola, B., Maria, C. H., & Josep, M. H. (2005). Migration and mental health in Europe (the state of the mental health in Europe working group: appendix 1).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y in Mental Health, 1(13), 1-16.

32.

Nwadiora, E., & McAdoo, H. (1996). Acculturative Stress Among American Reffugees:Gender and Racial Differences. Adolescence, 31(122), 477-487.

33.

Sandhu, D. S., & Asrabadi, B. R. (1994).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75, 435-448.

34.

Searle, W., & Ward, C. (1990). The prediction of psychligical and socio-cultural adjustment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4, 449-464.

35.

Williams, C. L., & Berry, J. W. (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46, 632-64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