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가암조기검진대상자의 유방암 수검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건강행동 모형의 탐색

Exploring of the Model on Health Behavior to Explain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of Test Subjects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4, pp.979-99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4.012
김혜민 (메리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민규 (경상대학교)
박기수 (경상대학교)
성한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초록

유방암을 예방하는데 있어, 발암물질 노출 억제와 같은 1차적 예방과 수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안되는 연령을 포함한 인구학적 변인 및 사회 경제적 수준 등은 개인의 노력으로 변화하기 어렵고 신속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신념과 같은 사회인지적 변인들은 수정 가능한 요인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으로 검증된 건강행동을 설명하는 사회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국가 암 조기 검진 대상자를 중심으로 하여, 유방암 수검 행동을 Becker, Maiman, Heafner(1977)의 수정된 건강신념 모형과 Ajzen(1991)이 제안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해 비교 검증하고, 이 두 이론을 통합하여 대안모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참여자는 J시에 거주하는 국가 암 조기 검진 대상자로, 만 40세 이상의 여성으로 연구에 최종 포함된 참여자는 총 51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신념 모형의 경우 적합도 지수는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점, 지각된 장애물, 건강동기, 행동단서 모두 유방암 수검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계획된 행동 이론의 경우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행동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의도를 예측하지 못했고, 지각된 행동 통제는 의도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나 행동에 대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의도는 유방암 수검 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안 모형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 모형에 건강신념 모형의 지각된 장애물 경로를 추가한 통합된 모형을 제안하였고,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의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지각된 장애물과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었고, 행동은 의도만이 유의한 기여를 하였다. 이와 더불어, 건강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 대안모형 중 유방암 수검 행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을 탐색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으로 비교 검증한 결과, 상대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방향에 관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건강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 이론, 유방암 수검 행동, 국가 암 조기 검진, Health Behavior Model,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Abstract

This study tested Becker, Maiman, Heafner's(1977) health behavior model(HBM) and Ajzen's(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explored an alternative model which accounts f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14 female test subjects from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NCSP) in J cit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tness of HBM was not satisfactory, however all path coefficients including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health motivation and cue to action demonstrates a strong relationship that predicts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In the case of TPB, the fitness was good but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lthough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explain the direct path to behavior, it was significant to predict intention.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path towards explaining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n alternative model was suggested by combined the model adding TPB to perceived barrier of HBM. The Fitness of this model was acceptable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explain intention are perceived barrier and perceived-behavior control.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was only predicted by intention in this model. From the result of comparing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TPB was relatively better.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건강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 이론, 유방암 수검 행동, 국가 암 조기 검진, Health Behavior Model,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참고문헌

1.

국가암정보센터 (2010). 암통계. URL:http://www. cancer.go.kr/ncic/cics_f/01/011/index.html에서 2012년 1월 자료 얻음.

2.

권선중, 김교헌 (2003). 흡연 및 음주행동을 설명하는계획된 행동이론과 대안모형의 비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미경 (1990). 유방암 자가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 모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록범, 박기수, 홍대용, 이철헌, 김정락 (2010). 국가 암조기검진 대상자의 암 검진 수검의도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43(1), 67-72.

5.

김영복, 고원철, 노운녕, 조선진, 백희정, 손혜현, 이순영, 맹광호 (2003). 지역사회 여성 주민의 건강보험제도를 활용한 건강검진 및 암검사 수검 특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 41-60

6.

보건복지부 (2003). 2003년도 국가 암 관리사업 안내.서울: 보건복지부.

7.

유근영, 노도영, 이은숙 (2002). 유방암의 조기검진. 대한의사협회지, 45(8), 992-1004.

8.

이미화, 최인희 (2002). 건강신념이 유방자가검진 이행에 미치는 영향.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27,289-303.

9.

이민규, 한덕웅 (2001). 섭식억제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의 탐색.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73-190.

10.

이영휘, 이은현 (2001). 장년기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대한 예측변수. 성인간호학회지, 13(4),551-559.

11.

조희숙, 김춘배, 이희원, 정헌재 (2004).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관련행동 연구에 대한메타분석. 학국심리학회지: 건강, 9(1), 69-84.

12.

표현정, 이민규 (2009). 인터넷 중동을 설명하기 위한심리학적 모형의 탐색: 중독위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531-548.

13.

통계청 (2010). 전체 인구 사망원인. http://kosis.kr/ abroad/abroad_01List.jsp에서 2012년 10월에 자료 얻음.

14.

한덕웅 (1997). 건강 행동을 설명하는 사회인지이론의비판적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1-45.

15.

한창현, 박재용, 감신, 김성아, 박기수 (2006).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일반질환 유소견 근로자의 의료이용 모형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8(4),284-297.

16.

함명일, 최귀선, 계수연, 곽민선, 박은철 (2007). 향후 2년 이내의 위암 검진 이용의도의 예측요인. 예방의학회지, 40(3), 205-212.

17.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1),161-177.

18.

Lee, K. S., Kim, Y. I., Kim, C. Y., Shin, Y. S. (2001).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o predicting cervix cancer screening behavior. Korean Preventive Medicine, 34(4), 379-388.

19.

Ajzen, I. (1988).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Chicago: Dorsey.

20.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2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2.

Becker, M. 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2, 409-419.

23.

Becker, M. H., Heafner, D. P., & Maimam, L. A.(1977). The Health Belief Model andprediction of dietary compliance: a fieldexperi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Behavior, 18, 348-366.

24.

Champion, V. L. (1994).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model constructs. Adv Nursing Science, 6, 73-85.

25.

Champion, V. L. (1985).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determining frequency of breast self-exam.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8, 373-379.

26.

De Vellis, B. M., Blalock, S. J., & Sandler, R. S.(1990). Predicting participation in cancerscreening: The role of perceived behavioralcontrol. Journal of Applied SocialPsychology, 20, 639-660.

27.

Drossaert, C. H. C., Boer, H., & Seydel, E. R. (2003). Prospec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peat attendance and attendance patterns in breast cancer screening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ogy and health, 18, 551-565.

28.

Grunfeld, E. A., Hunter, M. S., Ramirez, A. J., & Richards, M. A. (2003). Perceptions of breast canc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4(2), 141-146.

29.

Haefner, D. P., & Kirscht, J. P. (1970). Motivational and behavioral effects of modifying health beliefs. Public Health Reports, 85, 478-484.

30.

Harrison, J. A., Mullem, P. D., & Green, L. W.(1992). A meta-analysis of studies of theHealth Belief Model with adults. HealthEducation Research, 7, 107-116.

31.

Hochbaum, G. M. (1958). Public participation in medical screening program: A socio-psychological study. Public Health Service Publication, No 572. Washington, DC: United State Government Printing Office

32.

Jacobs, L. A. (2002). Health belief of first-degree relatives of individuals with colorectal cancer and participation in health maintenance visits: a population-based survey. Cancer Nursing, 25(4), 252-265.

33.

Janz, N. & Becker, M. H. (1984).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11, 1-47.

34.

Langer, E. J., & Roth, J. (1975). Heads I win, tails it's chance: The illusion of control as a function of the sequence of outcomes in a purely chance tas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2, 951-955.

35.

Montaño, D. E., Thompson, B., Taylor, V. M., Mahloch, J. (1997). Understanding mammography intention and utilization among women in an inner city public hospital clinic. Preventive Medicine, 26, 817-824.

36.

McCaul, K. D., Sandgren, O. K., O'Neill, H. K., & Hinsz, V. B. (1993). The valu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erceived control and self-efficacy expectations for predicting health-protective behaviors.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4, 231-252.

37.

Norman, P., & Conner, M. (1993). Attendance at health checks and the role of past behavior in attitude-behavior models. paper presented at the 8th European Health Psychology Society Conference, Alicante, July

38.

Norman, P. (1995).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to the prediction of attendance at health. check.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 461-470.

39.

Norman, P., Hoyle, S. (2004).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breast self-examination: Distinguishing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self-efficac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 694-708.

40.

Poss, J. E. (2001). Developing a New Model for Cross-Cultural Research: Synthesizing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3(4), 1-15.

41.

Rosenstock, I. M., Strecher, V. J., & Becker, M. H.(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Health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15(2), 175-183.

42.

Rutter, D. R. (2000). Attendance and reattendanc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A prospective 3-year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1-13.

43.

Tolma, E. L., Reininger, B. M., Ureda, J., & Evans, A. (2003). Cognitive motivations associated with screening mammography in Cyprus. Preventive Medicine, 36, 363-373.

44.

Tolma, E. L., Reininger, B. M., Evans A, Ureda, J.(2006). Examining the theory of plannedbehavior an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topredict mammography intention. Health EduBehav, 33, 233-347.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orld Cancer Report. Geneva; WHO;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