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한국형 성인용 게임중독 척도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Game Addiction Scale for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4, pp.709-72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4.007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용정순 (성균관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독증후군 모형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DSM-IV-TR(2000)을 참조하여 7개 하위요인(조절손상, 일상생활무시, 내성, 강박적 사용, 과도한 시간소비, 부작용에도 계속 사용, 금단)으로 구성된 성인용 게임중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유층표집을 통해 전국의 대학생 및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척도의 하위요인 별 내적일관성 계수는 평균 .72∼.85, 검사-재검사 상관은 r = .84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론적 가정과 동일한 고차 요인구조(2차 1요인, 1차 7요인)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HD, 불안, 우울 등의 공존장애 증상의 상관을 통해서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했으며, 인터넷 게임중독척도와의 상관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인용 게임중독 척도의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게임중독, 인터넷 게임중독,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 game addiction,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n Game Addiction Scale for adults. Data from a stratified sample of 2,000 Korean adults residing in Kore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In addition,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concurrent and convergent) was examined. Consistent with our theoretical assumptions, the new scale revealed a stable higher order factor structure (second order-one factor, first order-seven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 (average Cronbach's alpha = .95, four week test-retest reliability = .84). The scale also showed high levels of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game addiction are discussed.

keywords
게임중독, 인터넷 게임중독,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 game addiction,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참고문헌

1.

게임물등급위원회 (2011). 2011 게임물등급분류연감.

2.

게임물등급위원회 (2012). 2012 게임물등급분류연감.

3.

권정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67-280.

4.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3.

5.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6.

김교헌, 최훈석 (2008).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7.

김교헌, 최훈석, 권선중, 용정순 (2009).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중독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511-529.

8.

김세진, 김교헌, 최훈석 (2011). 청소년 고위험 게임사용의 발현과 이후 변화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위험요인과 보효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59-781.

9.

김재엽, 이진석, 이선우 (2010). 인터넷 게임의 폭력성이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폭력생각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1),249-278.

10.

유은승, 안창일, 박기환 (2007). 한국판 Liebowitz 사회불안척도(LSAS)의 요인구조 및 진단적 유용성-대학생 집단과 사회공포증환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251-270.

11.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2007). 인터넷중독 진단방식의 전환: 규준참조평가에서 영역참조평가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213-238.

12.

이종원, 유승호 (2003). 청소년들의 온라인게임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3.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 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14.

이희경 (2003).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요인이 게임 몰입과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청소년학연구, 10(4), 355-380.

15.

장기원, 이장한 (2007). 한국판 인터넷 게임중독/관여척도 (성인용)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517-527.

16.

장문선 (2008).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2), 499-513.

17.

장미경 (2011).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3(2), 277-297.

18.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의 개발.신경정신의학, 29(4), 943-956.

19.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 소아의 상태․특성불안척도의 개발. 서울의대정신의학, 14(3), 150-157.

20.

최훈석, 김교헌 (2009). 게임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II. 한국콘텐츠진흥원.

21.

최훈석, 김교헌 (2010). 게임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III. 한국콘텐츠진흥원.

22.

최훈석, 김교헌 (2011a). 게임 과몰입군 청소년 개입 프로그램 매뉴얼. 한국콘텐츠진흥원.

23.

최훈석, 김교헌 (2011b). 2011 게임이용자 종합실태조사.한국콘텐츠진흥원.

24.

최훈석, 김교헌, 용정순, 김금미 (2009). 적응적 게임활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565-588.

25.

최훈석, 용정순 (2010). 한국 청소년과 성인의 게임에관한 사회적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195-219.

26.

한국정보화진흥원 (2006).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척도개발연구.

27.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2010 대한민국 게임백서.

28.

한덕웅, 표승연 (2002).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03-427.

2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5 Development (2010). DSM-5: The future of psychiatric diagnosis.

30.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31.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from http://users.rider.edu/∼ suler/psycyber/supportgp.html

32.

Grant, J. E. (2008). Impulse control disorders: A clinician's guide to understanding behavioral addiction. [김교헌, 이경희, 이형초, 권선중 역 (2009). 충동조절장애. 서울: 학지사].

33.

Potenza, M. N. (2006). Should addictive disorders include non-substance-related conditions? Addiction, 101, 142-151.

34.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manifestations, common etiology.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2, 367-374.

35.

Young, K. S. (1999). Evaluation and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In L. VandeCreek & T. L.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pp.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