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명상이 중증 원형탈모증 환자의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evere Alopecia Areata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2, pp.533-54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5
서은성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중증의 원형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병 기간이 1년 이상이며 기존의 의학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은 중증 원형탈모증 환자들로서, 서울 소재 한방 탈모 클리닉 4개 지점에서 사전평가를 통해 선발된 30명(남 14, 여 16명, 연령 범위 25∼43세)이었다. 이들은 모두 한방병원에서 시행하는 통상적 치료를 받고 있었고, 추가적으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마음챙김 명상 집단과 통상적 치료만 받는 대기-통제 집단의 두 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할당되었다.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회기 당 60-70분간 주 1회씩 8주간 총 8회 진행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에 참석했으며, 하루에 1회 이상 마음챙김 명상을 실습하도록 지도받았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전후에 우울(BDI), 불안(STAI), 탈모증환자의 삶의 질(Hairdex), 심리적 수용(AAQ-16), 마음챙김 주의자각(MAAS)을 측정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두 집단에 각 10명씩 모두 20명이었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우울, 불안, 삶의 질 및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감정과 낙인부여 점수의 감소 폭이 대기-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컸다. 그러나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증상, 기능, 자존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심리적 수용에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마음챙김을 통한 심리적 수용이 상승되었음을 보여 준 반면, 대기-통제 집단에서는 심리적 수용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음챙김 주의자각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원형탈모증, 우울, 불안, 삶의 질, 수용, 마음챙김 명상, alopecia areata,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Hairdex), acceptance, mindfulness meditation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evere Alopecia Areata (AA). Thirty AA outpatient individuals (14 men and 16 women, 25-43 years old) from four local Korean traditional medical clinics in Seoul, South Korea, were recruited for this through preliminary evaluation. All participants suffered from severe forms of AA for at least one year and did not respond well to conventional AA treatme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group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AA severity, depression, or anxiety. The first group received treatments as usual (TAU), which included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such as Korean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 other group received both TAU and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AU+MM). In addition to receiving TAU, the participants in the meditation group attended 8 weekly Mindfulness Meditation sessions lasting 60-70 minutes. Both groups complet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State Trait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air Disease (Hairdex) measur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sychological factors. We also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acceptance(AAQ-16) and mindfulness(MAAS) were related process variables. The data of 20 participants (10 in each group)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AU+MM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change than the TAU-only group with respect to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i.e., total score, Emotion and Stigmatization subscal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is capable of reducing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f AA on patients and improving the general quality of life of patien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including areas of needed future research.

keywords
원형탈모증, 우울, 불안, 삶의 질, 수용, 마음챙김 명상, alopecia areata,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Hairdex), acceptance, mindfulness meditation

참고문헌

1.

김잔디, 김정호 (2010).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에 대한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16, 143-174.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

김정호 (1995). 마음챙김 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1, 1-35.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

김정호 (1996a).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4, 35-60.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김정호 (1996b). 한국의 경험적 명상연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3, 79-131.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김정호 (2004a). 마음챙김 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4(2), 27-44.

6.

김정호 (2004b).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2), 511-538.

7.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8.

김정호 (2014). 스무살의 명상책. 서울: 불광출판사.

9.

김정호, 조현진 (2002). 마음챙김 명상을 통한 체중조절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18, 83-109.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0.

김주희, 김미리혜, 김정호 (2013).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미치는 효과: 예비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53-68.

11.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12.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성현 (2007). 위빠싸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7(2), 83-105.

14.

백지연, 김명권 (2005).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 치료적가치. 상담학연구, 6(2), 665-685.

15.

이길홍, 이헌재 (2000). 탈모증의 정신의학적 특성 분석. 신경정신의학, 39(3), 539-555.

16.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 SDS , MMPI-D 척도의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0(1), 98-113.

17.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18.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SCL-9O-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833-850.

19.

전종희, 이우경, 이수정, 이원혜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201-212.

20.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1993). Spielberger 상태-특성불안 검사의 표준화. 학생지도연구, 10(1), 214-222.

21.

Benson, H. (2003). 과학명상법 [Beyond the Relaxation Response], (장현갑, 장주영, 김대곤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5년에 출판)

22.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23.

Colón, E. A., Popkin, M. K., Callies, A. L., Dessert, N. J., & Hordinsky, M. K. (1991). Lifetim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Comprehensive Psychiatry, 32(3), 245-251.

24.

Dawber, R., Van Neste, D., Dawber, R., Van Neste, D., 김한구, 김호근, et al. (2005). 두피모발질환. 서울: 군자.

25.

Fischer, T. W., Schmidt, S., Strauss, B., & Elsner, P. (2001). Hairdex: A tool for evaluation of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air diseases. [Hairdex. Ein Instrument zur Untersuchung der krankheitsbezogenen Lebensqualitat bei Patienten mit Haarerkrankungen] Der Hautarzt; Zeitschrift Fur Dermatologie, Venerologie, Und Verwandte Gebiete, 52(3), 219-227.

26.

Gilhar, A., & Kalish, R. S. (2006). Alopecia areata: A tissue specific autoimmune disease of the hair follicle. Autoimmunity Reviews, 5(1), 64-69.

27.

Gulec, A. T., Tanriverdi, N., Duru, C., Saray, Y., & Akcali, C. (2004). The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lopecia areata and the impact of the disease on the quality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43(5), 352-356.

28.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9.

Hunt, N., & McHale, S. (2005). The psychological impact of alopecia. British Medical Journal, 331(7522), 951-953.

30.

Kabat-Zinn, J. (2011). 명상과 자기치유 (상, 하)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ta. (장현갑, 김교헌, 김정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31.

Koo, J. (1995). Psychodermatology: A practical manual for clinicians. Current Problems in Dermatology, 7(6), 204-232.

32.

Levenson JL. (2008). Psychiatric Issues in Dermatology, Part 2: Alopecia Areata, Urticaria, and Angioedema. Primary Psychiatry, 5(9), 31-34.

33.

Ma, S. H., & Teasdale, J. D. (2004).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Replication and exploration of differential relapse prevention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1), 31-40.

34.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35.

Seyhan M., Aki T., Karincaoglu Y., & Ozcan H. (2006). Psychiatric morbidity in dermatology patients: Frequency and results of consult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51(1), 18-22.

36.

Shapiro, J., & Madani, S. (1999). Alopecia areata:Diagnosis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38 Suppl 1, 19-24.

37.

Vickers A. & Zollman C. (1999). ABC of complementary medicine: hypnosis and relaxation therapies. British Medical Journal, 319;1346-1349.

38.

Witek-Janusek, L., Albuquerque, K., Chroniak, K. R., Chroniak, C., Durazo-Arvizu, R., & Mathews, H. L. (2008). Effect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n immune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coping in women newly diagnosed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2, 969–98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