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4, pp.1185-1202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16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ces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youth using the progressive model of risk-taking behavior. It was noted that Korean youth mainly used smartphone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relationships and they generally lacked awareness of the existential aspect due to the excessive competition in college admissions. Taking these factors into account, social suppor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were chosen as the variables with an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To be more specific, it was hypothesized that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plays a mediational ro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0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in high school in "S" city, "D" city, and "P" ci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nd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the variables. The result of the tes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completely mediate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had an indirect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eficiency of social support, which influenc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finally ha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is showed that the absence of social support was not the direct caus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rather, smartphone addiction was more likely when youths became engrossed in their smartphones as a means to compensate for the low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caused by the lack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keywords
사회적 지지, 실존적 영적 안녕감,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social support,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martphone addiction, Youth

Reference

1.

권재환 (2006).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심리적·환경적 요인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사회연구, 11, 145-187.

2.

고장선, 김현옥, 김경호 (2009).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낙인과 사회적 지지체계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1(2), 173-194.

3.

구용근 (2014). 부모 양육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교정, 서상현 (2006). 청소년 인터넷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환경변인의 경로모형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1), 149-179.

5.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6.

김보성 (2013). 기독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과 가족관계 및 영적 안녕과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회 (1983). 실존주의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 16(2), 85-109.

8.

김원중 (2004). 왕따: 의미, 실태, 원인에 관한 종합적고찰. 상담학연구, 5(2), 451-472.

9.

김영경 (2013). 의대생의 스트레스와 알코올 중독, 인터넷 중독 및 도박중독과의 관계: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1), 97-114.

10.

김준걸 (2005).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지혜 (1998). 청소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학범 (2013).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중독범죄학회보, 3(1), 74-88.

13.

나재은 (2014). 이용자 특성과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공존질환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류미라(2002). 청소년의인터넷중독과사회적지지및자아정체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미래창조과학부 (2014). 무선통신 가입자통계. http://www.msip.go.kr/www/brd/m_220/view.do?seq=433&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 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에서2014. 6. 12. 자료얻음.

16.

백미영 (2002). 청소년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박명준 (2013).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중독행동과 영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한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명준, 신성만 (2014).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이 인터넷게임, 사이버섹스, 스마트폰 사용을 통한 중독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5(2), 753-771.

19.

방송통신위원회 (2013). 2013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20.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 청소년 가치관 국제비교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1.

신성만, 김주은, 오종현, 구충성 (2011). 청소년의 실존적 영적안녕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5), 1613-1628.

22.

신호경, 이민석, 김흥국 (2011).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실증연구: 스마트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8(3), 50-68.

23.

원두리 (2010).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일상에서의 의미경험, 자율적 행동조절 및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영향: 의미경험과 자율적 행동조절의 매개효과에관한 관계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95-208.

24.

아영아, 정원철 (2010).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부적응관계에서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8(2), 27-50.

25.

양돈규, 임영식 (1998).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4(1), 55-74.

26.

양유희 (2013). 울산광역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이용특성, 외로움, 가족기능, 사회적지지에 따른 스마트폰중독성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여성가족부 (2013). 2013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 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28.

여성가족부 (2014). 2014 청소년 통계. 서울: 여성가족부.

29.

용상화 (2013).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미애 (2013).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경석 (2014). 사회적 지지가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도형, 손은정(2013). 사회적기술, 사회적지지및외로움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105-3123.

33.

이영선, 김래선, 조은희, 이현숙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연구: 중·고생 이용자의 FGI 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 43-66.

34.

이정경(2014). 동기강화집단상담이알코올중독자의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정애 (2014).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진화 (2012).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헌숙 (2003). 실존주의 집단상담이 교사들의 삶의 목적의식과 자아 실현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현희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성란, 고기홍, 김정희, 권경인, 이윤주, 이지연, 천성문 (2013). 집단상담. 서울: 학지사.

40.

정숙희, 신성만 (2008). 기독대학생의 영적안녕,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교회사회사업, 6, 121-148.

41.

정인숙 (2008).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관계적 특성으로인한 부모-자녀 동반의 존중에 대한 목회상담적 치유 방안 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정희성 (2004). 청소년의 문화성향, 인터넷 중독 그리고친구의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희진 (2014). 우울과 불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복희, 정옥분, 유가효 (2003). 인간발달: 발달 심리적접근. 서울: 교문사.

45.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46.

조수진 (2012).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과 자존감, 충동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채서일 (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48.

최명심 (2009).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과 의미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황승일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5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미디어 중독 개입 및해소전략 방안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5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53.

한유화, 정진경 (2007).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개인주의적 및 집단주의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1(4), 117-131.

54.

허재홍 (2012). 관계정서와 분화정서에서 실제정서와 이상정서 차이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3(5), 2429-2442.

55.

허재홍 (2014). 정서억제가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중재효과. 상담학연구, 15(2), 595-608.

56.

홍준연 (2013). 삶의 의미 증진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Abramson, L. Y., Metalsky, G. T., & Alloy, L. B.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eo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2), 358-372.

58.

Alderfer, C. P. (1972).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New York: Free Press.

59.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60.

Bandalos, D. L, & Finney, S. J. (2001).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 R. E. Schumacker (Eds), Advanced structural modeling: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pp. 169-296).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1.

Bond, M. H., & Hwang, K. (1986). The social psychology of Chinese people. In M. H. Bond (Ed.), The Psychology of the Chinese People (pp. 213-266). Hong Kong: Oxford University Press.

62.

Browne, M. W., & Cudeck, R. (1993). A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63.

Carr, N. (2011).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The Shallows]. (최지향 역). 서울: 청림출판(원전은 2010년에 출판).

64.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65.

Cooper, M. (2014).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ies]. (신성만, 가요한, 김은미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2003년에 출판).

66.

Cote, J. E., & Levine, C. (1988).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go identity status paradigm. Developmental Review, 8(2), 147-184.

67.

Damon, W., Menon, J., & Bronk, K. C. (2003). The development of purpose during adolescenc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7(3), 119-128.

68.

Diener, E. D., & Diener, M.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4), 653-663.

69.

Dinner, E., & Wallbom, M. (1976). Effect of selfawareness on antinormative behavior.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0(1), 107-111.

70.

Edmondson, D., Park, C. L., Blank, T. O., Fenster, J. R., & Mills, M. A. (2008). Deconstructing spiritual well-be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HRQOL in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17, 161-169.

71.

Ellison, C. W., & Paloutzian, R. F. (1978). Assessing quality of life: Spiritual Well-be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August, 29.

72.

eMarketer (2014). Smartphone Users Worldwide Will Total 1.75 Billion in 2014. http://www.emarketer. com/Article/Smartphone-Users-Worldwide-Will-Total-175-Billion-2014/1010536/1에서 2014. 6. 13. 자료 얻음.

73.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W. Norton & Co.

74.

Erwin, B. A., Turk, C. L., Heimberg, R. G., Fresco, D. M., & Hantula, R. D. (2004). The Internet:Home to a serve population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nxiety Disorders, 18(5), 629-646.

75.

Griffiths, M. D. (1999).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12(5), 246-250.

76.

Hayduk, L. A. (1987).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with lisrel.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7.

King, L. A., Hicks, J. A., Krull, J. L., & Del Gaiso, A. K. (2006).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1), 179-196.

78.

Kraut, R., Lundmark, V., Patterson, M., Kiesler, S., Mukopadhyay, T., & Scherlis, W. (1998).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3(9), 1017-1031.

79.

Lee, A. K., Jason, B., & Constance, W. (2003). The role of religion, spirituality and alcoholics anonymous in sustained sobriety.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21(1), 1-16.

80.

Lim, L. L. (2009). The influences of harmony motives and implicit beliefs on conflict styles of the collectivis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4(6), 401-409.

81.

Mallinckrodt, B., & Meifen, W. (2005). Attachment, social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359-367.

82.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83.

Miller, G. A., & Russo, T. J. (1995). Alcoholism, Spiritual Well-Being and the Need for Transcendence. Maryland, SW: ERIC.

84.

Moberg, D. O. (1974). Spiritual well-being in late life. In J. F. Gubrium (Ed.), Late life: Communities and environment policy (pp. 256-279). Sprinfield, IL: Charles C. Thomas.

85.

Myers, J. E., Sweeney, T. J., & Witmer, J. M. (2000). The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for wellness: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3), 251-266.

86.

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87.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Peplau, & D. Pe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224-237). New York: John Wileyand Sons.

88.

Peele, S. (1985). The concept of addiction. In S. Peele, The meaning of addiction: Compulsive experience and its interpretation. Lanham, MD:Lexington Books.

89.

Rheingold, H. (1993). The virtual community: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ing Mass, Addison-Wesley.

90.

Schultz, D. (1976). Theories of personality. Belmont, C. A.: Wadsworth Publishing Co.

91.

Selman, R. L., Schultz, L. N., Nakkula, M., Barr, D., Watts, C., & Richmond, J. (1992). Friendship and fighting: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study of risk and prevention of viol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4), 529-558.

92.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 Rev Psychiatry, 12(6), 367-374.

93.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94.

Slife, B. D., & Lanyon, J. (1991). Accounting for the power of the here and now: A theoretical rev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41(2), 145-167.

95.

Small, G., & Vorgan, G. (2008). iBrain: Surviving the Technological Alteration of the Modern Mind. New York: Collins.

96.

Spineli, E. (2001). The Mirror and the Hammer:Challenges to Therapeutic Orthodoxy. London: Continuum.

97.

Stuart, S., & Robertson, M. (2003).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 clinician’s guide. London, UK:Hodder Arnold.

98.

Takahashi, S., & Kitamuram, M. (2009). Addictive Personality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2(5), 501-507.

99.

Triandis, H. C., McCusker, C., & Hui, C. H. (1990). Multimethod prob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006-1020.

100.

Tsuang, M. T., Williams, W. M., Simpson, J. C., & Lyons, M. J. (2002). Pilot study of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in twin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9(3), 486-488.

101.

Varni, J. W., & Setoguchi, Y. (1993). Effects of Parental Adjustment on the Adaptation of Children with Congenital or Acquired Limb Deficiencies. Journal of Developmental &Behavioral Pediatrics, 14(1), 13-20.

102.

Whaley, L. F., & Wong, D. L. (1997). Essential of pediatric nursing (5th ed.). St. Louis: Mosby.

103.

Weber, L. J., & Cummings, A. L. (2003).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ity, social support, and childhood maltreatment i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and Values, 47(2), 82-95.

104.

William, R. M., Alyssa, A. F., & Allen, Z. (2011). Treating Addiction: A Guide for Professional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05.

Wu, A. M. S., Cheung, V. I., & Hung, E. P. W. (2013).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addiction to social networking sites among Chinese smartphone user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 2(3), 160-166.

106.

Yalom, I. D. (1985). Theory of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3rd ed). New York: Basic Books.

107.

Young, K. S.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3), 899-902.

108.

Young, K. S., & De Abreu, C. N. (2013). 인터넷 중독:평가와 치료를 위한 지침서[Internet Addiction: A Handbook and Guide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신성만, 고윤순, 송원영, 이수진, 이형초, 전영민, 정여주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2011년에 출판).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