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북한이탈주민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문제

Complex PTSD Symptoms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4, pp.973-996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06
장문선 (경북대학교)
손의정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보이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 관련 요인, 탈북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비교집단으로 남한 주민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8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관련 요인은 정착금액만족도, 입국도움, 탈북이후 기간, 언어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탈북 직후에 상승한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6~8년 사이에 다시 정점을 이루는 양상을 보였고 그 중 정서의 불안정성, 신체화 증상은 만성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성격적인 측면의 변화가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남한 주민과의 비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지 않는 북한이탈주민은 외상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재경험, 회피․마비, 신체화 증상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을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으로 접근하여 탈북이후 기간에 의한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며, 이후 현장에서 개입 시, 북한이탈주민의 만성화된 증상과 탈북 이후 기간을 고려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북한이탈주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심리적 증상, North Korean defectors, Complex PTSD, PTSD, psychological symptoms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PTSD symptoms displayed by North Korean refugees, including the explanation of the adaptive factors depicting complex PTDS symptoms and depression, anxiety, and development of PTSD with time flow. South Koreans were presented as a comparison group.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n 8 North Korean refugees who live in Kyeongbuk. Below are the conclusions. Firs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PTSD,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hown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settlement funds, assistance given on immigration, period since the escape, and difficulties in language. The PTSD tends to increase just after their escape from North Korea and then decrease, and there is a peak at 8~10 years after the escape. Among them, mental instabilization and somatization tend to develop into chronic status, and personality is particularly affected. Second, compared to South Koreans, North Korean refugees without PTSD have notable differences in re-experience, avoidance-numbing, and somatiz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at the research had been done on the development of PTSD with regard to the period elapsed since the escape, with that the North Korean refugees' experience was analyzed by PTSD asp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potential requirement/need for a treatment plan that considers the chronic symptom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time elapsed since the escape.

keywords
북한이탈주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심리적 증상, North Korean defectors, Complex PTSD, PTSD, psychological symptoms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

김동배 (1996). 탈북자의 적응을 위한 민간 차원의 대책.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 서울: 도서출판 오름.

4.

김진윤, 윤여상 (1997). 탈북 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단계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통일원, 통일교육·홍보, 97, 신진 연구자 북한 및 통일 관련 논문집.

5.

김현아․전명남 (2004).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6.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일반31(4), 1016-1018.

7.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나영 (2010).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복합 외상 증상및 성격 특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9.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3(1), 31-41

11.

안현의 (2007). 복합 외상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 일반 23(1), 105-119

12.

양계령 (2008). 심리적 학대와 자아 탄력성이 복합PTSD에 미치는 효과 -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완충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연구-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인진 (1999).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 가을호, 511-549.

16.

윤인진 (2001). 탈북자는 2등 국민인가? 당대비평, 16, 222-255.

17.

원지현 (2013). 북한이탈주민의 반복적 대인간 외상경험, 경험적 회피, 복합PTSD의 관계. 광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기영 (1998). 탈북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모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8, 161-176.

19.

이소래 (1997). 사회적 지지가 남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5(1), 149-161.

20.

이장호(1997). 북한출신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적응프로그램의 개발. 성곡논총, 28(4), 739-789.

21.

이지민, 홍창희 (2007). 성매매 여성들의 복합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 한국 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314-315.

22.

전우택 (1997). 북한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연구. 신경정신의학, 36(1), 145-161.

23.

전우택 (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자생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부 연구용역보고서.

24.

정유선 (1998). 탈북 귀순자의 적응 과정과 일상생활에서의 실천 방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희진 (2008).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역량의 변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6.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27.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28.

통일부 (2014).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통일부 홈페이지. www.unikorea.go.kr.

29.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홍창형, 유정자, 조영아, 엄진섭, 구현지, 서승원, 안은미, 민성길, 전우택 (2006). 북한 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대한 3년 추적연구,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5(1), 49-56.

31.

Alderman, T. (1997). The Scarred Soul:Understanding & Ending Self-Inflicted Violence. Oakland &,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32.

Allen. B., Lauterbach, D. (2007).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 587-595.

3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4.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997). Acculturation & adaptation(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5.

Braun B. G. (1988) The BASK (behavior, affect, sensation, knowledge) model of dissociation. Dissociation. 1, 4-23.

36.

Briere, J. & Runtz, M. (2002). The Inventory of Altered Self-Capacities(IASC):A standardized measure of identity, affect regulation disturbance. Assessment. 9. 230-239.

37.

Chu, J. A. (1998). Rebuilding shattered lives: The responsible treatment of complex post-traumatic & dissociative disorders. New York: Wiley.

38.

Cole, P., & Putnam, F. W. (1992). Effect of incest on self & socialfunctioning: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ling & Clinical Psychology, 60, 174-184.

39.

Courtois, C. A. (2004). Complex trauma, complex reactions: Assessment & treatment. Psychotherapy:Theory, Research, Practic, Training, 41, 412-425.

40.

Dolan, Y. (1991). Resolving Sexual Abuse:Solution-Focused Therapy & Eriksonian Hypnosis for Adult Survivors. New York: W. W. Norton.

41.

Ebert, A., & Dyck, M. J. (2004). The experience of mental death: The core feature of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617-635.

42.

Elliott, D. M., Mok, D. S., & Briere, J. (2004). Adult Sexual Assault: prevalence, Symptomatology, &Sex Differences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 203-211.

43.

Favaro, A., Ferrara, S., & Santonastaso, P., (2007). Self-injurious behavior in a community sample of young women: Relationship with childhood abuse & other types of self-damaging behavior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8, 122-131.

44.

Felitti V, Anda R, & Nordernbeg D. (1998). Relationship of childhood abuse to many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adults: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Journal of Psychiatry, 163, 245-258.

45.

Fleming J, Mullen, P. E., Sibthrope, B., & Bammer, G. (1999). The long-term impact of childhood sexual abuse in Australian women. Child Abuse & Neglect, 23, 145-159.

46.

Finkelhor, D., Hotaling, G., Lewis, I.A., & Smith, C. (1989). Sexual abuse & its relationship to later sexual satisfaction, marital status, religion, &attitud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4, 379-399.

47.

Finzi, R., Har-Even, D., & Weizman, A. (2003). Comparison of Ego Defenses among Physically Abused Children, Neglected, & Non-maltreated Children. Comprehensive Psychiatry, 44, 388-395.

48.

Foa E. B., & Riggs D. S.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rape. American Psychiatric Press Review of Psychiatry, 9, 273-303.

49.

Fonagy, P., Target, M., & Gergely, G. (2000). Attachment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A theory & some evidence.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3, 103-122.

50.

Ford, J. D. (1999). Disorders of extreme stress following war-zone military trauma: associated featur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r comorbid but distinct syndrom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67, 3-12.

51.

Gong Guy, E (1986). California Southeast Asian Mental Needs Assessment: Okland, CA: Asia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52.

Grant, M. (1997). Pain contral with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Australia:Wyong Medical Centre.

53.

Haskette, M. E. (1990).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of young physically abused childre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21, 109-118.

54.

Herman, J. (1992).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 377-391.

55.

Herman, J. L. (1997). Trauma & Recovery. New York: Basic Books.

56.

Hirayama, K., & H. C. Hirayama. (1993). Mental health promotion for Southeast Asian Refugees in the U.S.A. International Social Work, 36, 119-129.

57.

Horowitz, M. J. (1986). Stress Respond Syndrome. New York: Jason Aronson.

58.

Luxenberg T. , Spinazzola, J. , & van der Kolk (2001). Complex Trauma & Disorders of Extreme Stress (DESNOS) Diagnosis, Part One: Assement. Directions in Psychiatry, 21(4), 373-393.

59.

Ouimette, P., Saxe, G., & van der Kolk, B. A. (1996). The complex PTSD interview in stamm, H. (Ed.), Measurement of Stress, Trauma, &Adaptation. Sidran Press.

60.

Pelcovitz, D., van der Kolk, B.A., Roth, S., Mandel, F., Kaplan, S., & Resick, P. (1997). Development of a criteria set & a structured interview for disorder of extreme stress(SID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0(1), 3-16.

61.

Polusny, M. A., & Follette, V. M. (1995). Long-term correlates of child sexual abuse. Applied &Preventive Psychology, 4, 143-166.

62.

Resick, P. A., Pallavi, N., & Griffin, M. G.(2003). How well does conitive-behavioral therapy treat symptoms of complex PTSD? An examination of child sexual abuse survivors within a clinical trial. CNS Spectrums, 8, 351-355.

63.

Rothschild, B. (2000). The body remembers: the psychophysiology of trauma & trauma treatment. New York: W. W. Norton.

64.

Schneider-Rosen, K., & Cicchetti, D.(1984). The realationship between affect & cognition inmaltreated infants: Quality of attachment &the development of visual self-recognition. Child Development, 55, 648-658.

65.

Tedeschi, R. G., Park, C. L., & Calhoun, L. G. (Eds.). (1998).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Mahwe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66.

Terr, L. (1991). Childhood traumas: An outline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 10-20.

67.

van der Kolk B. A., Pelcovitz D., Roth, S., Mendel, F., McFarlane, A., & Herman, J. L. (1996). Dissociation, somatization, & affect dysregulation:The complexity of adaptation to traum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3, 83-93.

68.

van der Kolk, B. A., Roth, S., Pelcovitz, D., Sunday, S., & Spinazzola, J. (2005). Disorders of Extreme Stress: The Empirical Foundation of a Complex Adaptation to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5), 389-399.

69.

Woo-Teak Jeon, (2008).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 in protective facilities in chin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2), 70-77.

70.

Yehuda R. (2001). Bi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2, 41-4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