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절식태도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불만족과 마음챙김의 효과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Pressure of Being Slim on Restrained Eating Attitude and Eating Behavior : The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and Mindfulnes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5, v.20 no.3, pp.527-546
https://doi.org/10.17315/kjhp.2015.20.3.003
김나희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김교헌 (충남대학교)
김수현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과 절식태도, 통제력을 잃은 섭식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와 특성과 상태로서의 마음챙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사연구를 통해 남·여 275명을 대상으로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압력이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마음챙김이 압력과 절식태도의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조사연구대상 중 34명을 무작위 선별하여 실험을통해 연구 1의 결과를 재검증하였다. 또한 절식태도와 섭식행동에 대한 마음챙김과 호흡훈련의처치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신체불만족이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과절식태도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압력과 특성으로서 마음챙김의상호작용효과가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연구 2의 결과, 신체불만족이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절식태도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한편 신체불만족과섭식태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신체불만족은 압력과 절식태도의관계에서 주요요인이며 마음챙김은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keywords
Sociocultural Pressure of Being Slim, Body Dissatisfaction, Eating Attitude, Eating Behavior, Mindfulness,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신체불만족, 절식태도, 섭식행동, 마음챙김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and uncontrolled eating behaviors, from which mediating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s and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s traits and states are investigated. In study 1, 275 males and females were examined in order to assist in a bette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due to restrained eating attitudes by mediation of body dissatisfactions, and verify whether mindfulness, moderated them. In study 2, 34 were randomly selected and evidence of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dded through an experiment, which were verified in study 1 examining whether restrained eating attitudes really affected eating behaviors. In the result of study 1, it was verified and found to be significant that body dissatisfactions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effecting interactions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mindfulness as traits on restrained eating attitudes. The analysis in study 2 showed that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 on restrained eating attitudes,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on eating behaviors, were all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attitudes could not moderate them. In other words, body dissatisfaction was main factor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while mindfulness was a protection factor. In addition,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keywords
Sociocultural Pressure of Being Slim, Body Dissatisfaction, Eating Attitude, Eating Behavior, Mindfulness,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신체불만족, 절식태도, 섭식행동, 마음챙김

참고문헌

1.

김교헌 (1999). 청소년기 소녀들의 자긍심과 날씬함에대한 집착 및 다이어트가 폭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4(1), 155-165.

2.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지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285-306.

3.

김미리혜 (2008). 폭식행동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7), 605-619.

4.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2), 511-538.

5.

김혜은, 박경 (2010). 우울, 정서조절, 마음챙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29(2), 541-557.

6.

노영경, 김봉환 (2005). ‘체형 만족도 평가지(Body Shape Questionnaire: BSQ)'의 타당화 연구 : 여대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6(4), 1163-1174.

7.

신미연 (2011). 외모에 대한 지각된 사회문화적 영향과다이어트 행동의 관계-신체상과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원두리 (2007). 마음챙김, 의미부여 및 자율적 행동조절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원두리, 김교헌 (2006).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71-886.

10.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이병관, 장필립, 윤애리 (1998).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표준화 연구Ⅰ : 신뢰도 및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 6(2), 155-175.

11.

이상선, 오경자 (2003).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13-926.

12.

이임순 (1999). 여대생의 다이어트 및 섭식절제 경향.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4, 43-50. 서울: 고려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13.

임명철, 손정락 (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823-840.

14.

임숙희 (2013). 자율성과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게임 조절 동기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임숙희 (2006).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여대생들의 신체불만족과섭식 행동에 미치는 효과: 행동접근체계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전소라, 손정락 (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가 폭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및 감정표현불능증에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841-859.

17.

조혜진 (2010). 자기조절과 폭식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최유영, 손정락 (2011). 수용전념 치료(A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존중감, 회피 및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657-673.

19.

최윤선 (2006).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을 위한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과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한국일보 (2013). http://beauty.hankooki.com. 2013년 5월24일 인출.

2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정신장애의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 서울: 하나의학사.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ManMag.

23.

Baer, R. A. (2003).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 Practice, 10, 125-143.

2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25.

Cooper, Z., & Fairburn, C. G. (1987).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the assessment of the specific psychopathology of eating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 1-8.

26.

Fairburn, C. G., & Wilson, G. T. (1993). Binge eating: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In C. G. Fairburn, G. T. Wilson (Eds), Binge eating: Nature,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27.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과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1990에 출판).

28.

Kristeller, J. L., Baer, R. A., & Quillian-Wolever, R. (2006). Mindfulness-based approaches to eating disorders. Mindfulness-based treatment approaches: Clinician's guide to evidence base and applications, 75-91.

29.

Orleans, C. T., & Barnett, L. R. (1984). Bulimarexia:Guidlines for behavioral assessment and treatment. In R. C. Hawkins, W. J. Fremouw, &P. E. Clement (Eds.), The binge-purge sydrome:Diagnosis, treatment and research. New York:Springer.

3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31.

Sternberg, R. J. (2000). Images of mindfulness. Jounal of Social Issues, 56(1), 11-26.

32.

Stice E., & Shaw, H. E. (1994).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portrayed thin-ideal on women and linkages to bulmic symptomatology. Jounal of Social and Clincal Psychology, 13, 288-308.

33.

Stice, E. (2001). A prospective test of the Dual-pathway Model of Bulimic Pathology: Mediating effect of Dieting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1), 124-135.

34.

Stice, E. (2002). Risk and maintenance factors for eating 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Behavior Therapy, 29, 257-276.

35.

Thompson, M. A., & Gray, J.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body-image assessment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4, 258-269.

3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