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성향을 보이는 여대생들에게 감사일지를 작성하게 하는 것이 우울의 감소를 돕고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는지, 그리고 낙관성과 정서를 조절하는 인지적인 전략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대학에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고, 높은 우울 성향 등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된 총 28명의 대학생으로 감사일지 작성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 각각 14명씩 할당했다. 감사일지 작성 집단은 한 주 동안 감사할 일이나 대상을 생각하여 다섯 가지의 감사일지를 작성하게 했고 대기-통제 집단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감사일지 작성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1회기씩 총 4회기가 집단으로 진행되었으며, 1회기 당 진행은 약 5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감사일지 작성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은 모두 같은 시기에 사후 평가를 했고, 감사일지 작성 집단은 3주 뒤 추수 평가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사후, 추수 평가에 Beck의 우울 척도, 감사성향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만족예상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낙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감사일지 작성 집단이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 부적 정서, 비적응적 인지전략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정적 정서, 낙관성, 적응적 인지전략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효과는 3주 뒤 추수 평가에서도 지속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 성향이 있는 여대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주관적 웰빙을 증가 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keeping an appreciation journal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optimism,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women with depression tendencies. Study participants were 28 female students in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Korea who reported mild to moderate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Appreciation Journal (experimental) group and a wait-lis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met once per week over 4 weeks to complete the appreciation journal program where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five things they appreciate once a week, and then share their journal contents with their group. Both groups complet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Gratitude Questionnaire at pre-test, post-test and at three-weeks follow-up. The scores o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Negative Affect, and Non-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Appreciation Journa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core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Positive Affect,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and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Appreciation Journ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keeping appreciation journals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 in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and reducing depress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on tendencies.
고은미, 김정호, 김미리혜 (2015). 웰빙인지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69-89.
공수자, 이은희 (2006).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21-40.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1), 177-190.
김경미, 김정희 (2011). 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 23(6), 729-759.
김경미, 조진형 (2012). 보육교사 교육생의 감사편지 쓰기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07-825.
김경미, 한민, 류승아 (2014). 감사, 후회 및 감사 대 후회 비율이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를 매개로. 청소년학연구, 21(9), 51-77.
김민경 (2011). 대학생의 우울, 감사 및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 청소년 문화포럼, 28(-), 7-31.
김별님, 이인혜 (2009). 경험논문: 감사 지각이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2), 363-382.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영환, 최이순 (1991). 우울증과 초점주의의 대상 및내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330-343.
김유리, 이희경 (2012).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학생생활연구, 25, 19-35.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김정호 (2000a).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인지. 학생생활연구소, 16, 1-26.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김정호 (2000b).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목록. 서울: 학지사.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김정호 (2005). 스트레스는 나의 스승이다. 서울: 아름다운인연.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53-484.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김정호 (2007b). 낙관성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3), 1-22.
김정호 (2010). 마음챙김과 긍정심리학 중재법의 통합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369-387.
김정호, 김선주 (2000). 심리학에서 본 건강: 총체적 복지로서의 건강. 김정희 (편), 도대체 건강이란 무엇인가 (pp.73-101). 서울: 가산출판사.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2009). ‘삶의 만족’은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특집호, 187-205.
김춘경, 변학수, 채연숙 (2006). 통합적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2(1), 103-125.
김희경, 심현옥, 문숙남, 이정민 (2014). 감사증진프로그램이 생도들의 감사성향, 행복감, 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32(2), 69-81.
노상선, 조용래 (2013).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자를 위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97-121.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59-183.
노혜숙, 신현숙 (2008).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2), 147-168.
민경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4). 웰빙인지기법이 버스운전기사들의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63-82.
박경 (2004). 부정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265-283.
박광희 (2008). 대학생 우울에 관한 예측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38(6), 779-788.
박선민, 김아영 (2014). 감사일지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敎育方法硏究, 26(2), 347-369.
박혜숙, 김애정 (2008). 여대생의 스트레스, 우울과 양생간의 관계.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1(2), 149-159.
배수현, 김광수 (2013).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2(1), 49-67.
서덕남, 박성희(2009). 감사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8(1), 79-94.
서은정 (2010). 감사편지와 용서편지 작성이 고등학생의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설정훈, 박수현 (2015). 해군 장병의 스트레스와 인지적정서조절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2), 553-578.
손은령, 김계현 (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21-139.
신현숙, 김미정 (2009).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주관적 안녕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205-224.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2013).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4(3), 1773-1794.
양진희 (2013).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幼兒敎育硏究, 33(2), 259-280.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25-145.
윤혜정, 조붕환 (2011).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0(1), 1-17.
은희진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효과: 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이향숙 (2008). 감사와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임경희 (2009). 감사 연구의 최근 동향 및 과제. 상담평가연구, 2(2), 47-60.
정영은, 강민재, 송광헌, 최영실, 우종민, 채정호 (2008). 긍정심리학 배경의 인지행동치료 기법을 이용한 행복 증진 기법 개발. 인지행동치료, 8(2), 51-62.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연구총서(제48집). 집문당.
조아라, 정영숙 (2012). 노인의 감사와 성숙한 노화 및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4), 67-87.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 (2008).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201, 11(2), 75-101.
조현주, 전태연, 채정호, 우영섭, 최정은, 기백성, 임현우 (2007).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63-679.
최지호, 곽인호, 이상현, 최재빈, 조성민 (1999). 고등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력간의 상관관계. 가정의학회지, 11(1), 65-76.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2004).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3(2), 263-279.
Adler, M. G., & Fagley, N. S. (2005). Appreciation: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1), 79-1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Washington, DC: Author.
Beautrais, A. L. (2002). Gender issues on youth suicidal behavior. Emerg Med, 14, 35-42.
Bonner, R. L., & Rich, A. R. (1988).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A test of a model. The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uicidology, 18(3), 245–258.
Deci, E.,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human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Diener, E., & Lucas, R. E. (1999).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Diener, E., Suh, Eunkook M., Lucas, R. E., & Smith, Heidi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Essau, C. A., Conradt, J., & Petermann, F. (2000). Frequency, comorbidity, and psychosocial impairments of depressive disorders in adolescents. J Adolesc Res, 15(4), 470-481.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84(2), 377-389.
Emmons, R. A. (2004). The psychology of gratitude:An introduction.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pp.3-18, 15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Emmons, R. A., & Shelton, C. M. (2005). Gratitude and the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2-471).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Fava, G. A., Raffanelli, C., Cazzaro, M., Conti. S., & Grandi, S. (1998). Well-being therapy: A novel psychotherapeutic approach for residual symptoms of affective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8, 475-480.
Fava, G. A. (1999). Well-being therapy.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171-178.
Fava, G. A., & Ruini, C. (2003).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 well-being enhancing psychotherapeutic strategy: Well-being therap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34, 45-63.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Froh, J. J., Sefick, W. J., & Emmons, R. A. (2008). Counting blessing in early adolesc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2), 213-233.
Garber, J., Braafladt, N., & Zeman, J. (1991).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Garnefski, N., Kraiij, V., & Spinhvb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1311-11327.
Garnefski, N., Boon, S., & Kraiij, V., (2003).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rategies of adolescent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across different types of life ev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6), 401-408.
Garnefski, N., & Kraiij, V. (2006).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development of a short 18-item version (CER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6), 1045-1053.
Gordon, A. K., Musher-Eizenman, D. R., Holub, S. C., & Dalrymple, J. (2004). What are children thankful for? An archival analysis of gratitude before and after the attacks of September 11,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 541-553.
Kashdan, T. B., Uswatte, G., & Julian, T. (2006).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177-199.
Lazarus, R. S., & Lazarus, B. N. (1994).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azarus, R. S. (1999). Stress and emotion: A new synthesis. New York: Springer.
Lin, C.-C. (2015). Gratitude and depression in young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7, 30-34.
Lloyd, C. (1980). Life events and depressive disorder reviewed II: Events as precipitating factors. Arch Gen Psychiatry, 37, 541-548.
Lyubomirsky, S. (2007).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The Penguin Press.
McCullough, M. E., Kilpatrick, R. A., Emmons, R. A., & Larson, D. B. (2001). Is gratitude a moral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127, 249-266.
McCullough, M. E., Emmons, R. A., & Tsang, J. (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logy.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82(1), 112-127.
Mkize, L. P., Nonkelela, N. F., & Mkize, D. L., (1998).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 university population. Curationis, 21(3), 32-27.
Morimoto, K. (1999). Life and stress of modern people. In Kawano, T. N., & Kuboki, T. H.(Eds), Problem and coping of stress(pp. 46-59). Tokyo:Shibundo.
Nolen-Hoeksema, S. (2000). The role of rumination in depressive disorders and mixed anxiety/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3), 504-511.
Nolen-Hoeksema, S., Parker, L. E., & Larson, J. (1994).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92-104.
Papageorgiou, C., & Siegle, G. J. (2003). Rumination and depression: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243-245.
Peterson, B. E.,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utter, M.. (1989). Twenty five years of child psychiatric epidemiology. J Am Acad Child Adolesce Psychiatry, 28, 633-653.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t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Ryff, C. D., & Singer, B. H.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5, 14-23.
Seligman, M. E. P. (1995). The optimistic child.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Seligman, M. E. P. (2005).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3-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Seligman, M. E. P (2009). 긍정심리학[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서울: 물푸레. (원전은2002에 출판)
Sheldon, K. M., & Lyubomirsky, S. (2006). How to increase and sustain positive emotion: The effects of expressing gratitude and visualizing best possibile selv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 73-82.
Toussaint, L., & Friedman, P. (2009). Forgiveness, gratitude,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affect and belief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635-654.
Watkins, P. C., Grimm, D. L., & Hailu, L. (1998). Counting your blessings: Grateful individuals recall more positive memory. Paper presented at the 11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Denver, co.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K., & Kolt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5). 431-452.
Watkins, P. C. (2004).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 (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pp. 167-19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Weiner, B. (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 548-573.
Wood, A. M., Maltby, J., Stewart, N., & Joseph, S. (2007). Conceptualizing gratitude and appreciation as a unitary personality trait. Personal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621-632.
Wood, A. M., Froh, J. J., & Geraghty, A. W. A. (2010). Gratitude and well-being: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90-905.